0. 들어가기 전에
- 2016년 넥슨 NDC 행사를 처음 알게 되었다. 게임을 둘러싼 많은 주제, 즉 운영, 개발, 미디어 등등 다양한 업종의 이들을 모아 강연을 진행한다
- 아쉽게도 16년도에는 참여를 못했고, 2017 NDC에 운 좋게 참여할 수 있었다(시험 끝난 다음날 컨퍼런스가 시작했다!)
1. Lobotomy Corporation 포스트모템 - 학생프로젝트부터 스팀얼리액세스까지, 2년간의 개발일지
By 김지훈, Project moon
처음 기반을 현성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느낀 것은 팀 프로젝트에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학생 프로젝트로 진행하다 보니 시간/공간적 합의의 구성도 힘들고, 공/사 유지 역시 쉽지가 않았다.
공과 사가 구분되지 않는 것은 인정하되, 서로 가능한 배려할 선을 유지하고자 했다.발로 뛰면서 팀을 구성하다 보니 미리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했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했다고.
특히 중요한 것은 팀장의 역할이었다.
팀을 믿고 끝까지 프로젝트를 유지해야 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것.
개발 과정에서 팀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검증 수단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했을 때에는 이것저것 부딪혀야 할 일이 많았다.
각 팀원들의 개발 능력과 작업 스타일을 분석해서 효율적으로 이끌어내야 하고
협업 툴의 구성, 기능 구현과 팀원간 커뮤니케이션 등등 모든 것이 팀 단위 작업이다 보니 난항을 겪을 일이 많았다.개발 과정에 한정된 자원과 시간은 결국 선택과 집중으로 이어져야 했다.
관리-관찰-탈출-제압으로 이어지는 게임의 시스템에서, 개발 결과 탈출과 제압에 게임의 무게를 더 싣기로 했다.
2. 게임 개발, 교육이 되다 (초등학생들의 게임 개발 이야기)
By 백재순, 아주대학교
최근 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보통 소프트웨어 교육은 프로그래밍 이전의 개념적인 교육, 알고리즘, 교육용 언어, 피지컬 컴퓨팅(레고 마인드스톰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한 코딩 교육)의 단계로 진행된다.
문제는 문제 해결 방식의 교육에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낀다는 점으로, 주입식 교육이 아닌 게임 개발을 교육에 접목한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게임에 얼마나 잘 집중하는가를 본다면, 게임이 얼마나 동기 유발 도구로써 잘 작용하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게임 개발 과정은 스토리, 프로그래밍, 그래픽, 사운드 등 학교 내에서 배우는 온갖 과목들이 융-복합되어있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실제로 게임 개발을 교육에 접목한 사례를 보면,
먼저 Unplugged 교육으로는 직접 개발할 장르의 게임을 직접 해보면서 게임의 요소를 파악해보고,
규칙, 레벨, 캐릭터 디자인을 통해 직접 자신이 게임을 설계해본다.
그 뒤에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는데, 이 때 gamesalad 등 개발 접근성이 쉬운 엔진을 통해 스스로 게임을 개발하고 출시하는 과정을 경험해본다.
실제 외국 사례를 보면, YGD라는 청소년 게임 개발 대회가 있는데, 이 대회의 특징은 시상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게임 개발까지 지속적인 교육을 지원해준다는 점이다. 굳이 이 프로그램 뿐이 아니라도 미국 전역에 약 140여개의 프로그램이 있다고 합니다.게임 개발은 단지 개발의 요소뿐이 아니라 공학-과학-수학이 합쳐지는 융합적 교육이다.
그 뿐 아니라 팀 개발을 통해 타인과 협업을 하는 법을 알고, 개발 과정에 게임이 포함하는 수많은 분야 속에서 자신의 적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진로교육의 측면에서까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겁니다.
3. 진화심리학으로 풀어 본 게임의 몰입 요소 - 우리의 원시적 뇌는 무엇을 욕망하는가?
By 서기슬, 한국과학기술원
우리가 게임을 할 때의 생각 과정에는 원시시대부터의 메카니즘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왜?" 라는 질문과 "그냥" 이라는 대답에는 중요한 관계가 있다.
사람의 기본적 본능인 놀이 본능이라는 것이다.
모든 놀이를 게임이라고 할 수 없겠지만, 게임의 핵심적인 기반은 '놀이' 인 것이다.진화심리학은 "왜?"와 "그냥"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각 개체마다 생존 혹은 번식의 확률이 다 다르다.
이때 생존하여 번식한 개체가 후대로 전달되는 것을 자연선택이라고 한다.
자연선택으로 생존한 종은 세대를 거쳐 주변환경에 적응하도록 변화한다.
인간 심리를 이러한 진화의 적응에 연관시켜 이해 및 해석하고자 하는 심리학을 진화심리학이라고 한다.진화심리학에서 인간 심리는 진화를 통한 적응, 그로 인한 결과물이라고 판단한다.
게임기획에서 심리학 이론이 아이디어의 효과성을 추론할 때 이용 가능하게 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적용하려는 아이디어에 전례가 없을 때 이론과 가설을 통해 결과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