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0. 들어가기 전에


  • 2016년 넥슨 NDC 행사를 처음 알게 되었다. 게임을 둘러싼 많은 주제, 즉 운영, 개발, 미디어 등등 다양한 업종의 이들을 모아 강연을 진행한다
  • 아쉽게도 16년도에는 참여를 못했고, 2017 NDC에 운 좋게 참여할 수 있었다(시험 끝난 다음날 컨퍼런스가 시작했다!)

1. Lobotomy Corporation 포스트모템 - 학생프로젝트부터 스팀얼리액세스까지, 2년간의 개발일지

By 김지훈, Project moon


  • 처음 기반을 현성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느낀 것은 팀 프로젝트에서 결속력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학생 프로젝트로 진행하다 보니 시간/공간적 합의의 구성도 힘들고, 공/사 유지 역시 쉽지가 않았다.
    공과 사가 구분되지 않는 것은 인정하되, 서로 가능한 배려할 선을 유지하고자 했다.

  • 발로 뛰면서 팀을 구성하다 보니 미리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했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했다고.

  • 특히 중요한 것은 팀장의 역할이었다.

    팀을 믿고 끝까지 프로젝트를 유지해야 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것.
    개발 과정에서 팀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검증 수단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

  •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했을 때에는 이것저것 부딪혀야 할 일이 많았다.

    각 팀원들의 개발 능력과 작업 스타일을 분석해서 효율적으로 이끌어내야 하고
    협업 툴의 구성, 기능 구현과 팀원간 커뮤니케이션 등등 모든 것이 팀 단위 작업이다 보니 난항을 겪을 일이 많았다.

  • 개발 과정에 한정된 자원과 시간은 결국 선택과 집중으로 이어져야 했다.

    관리-관찰-탈출-제압으로 이어지는 게임의 시스템에서, 개발 결과 탈출과 제압에 게임의 무게를 더 싣기로 했다.


2. 게임 개발, 교육이 되다 (초등학생들의 게임 개발 이야기)

By 백재순, 아주대학교


  • 최근 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 보통 소프트웨어 교육은 프로그래밍 이전의 개념적인 교육, 알고리즘, 교육용 언어, 피지컬 컴퓨팅(레고 마인드스톰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한 코딩 교육)의 단계로 진행된다.

  • 문제는 문제 해결 방식의 교육에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낀다는 점으로, 주입식 교육이 아닌 게임 개발을 교육에 접목한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게임에 얼마나 잘 집중하는가를 본다면, 게임이 얼마나 동기 유발 도구로써 잘 작용하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게임 개발 과정은 스토리, 프로그래밍, 그래픽, 사운드 등 학교 내에서 배우는 온갖 과목들이 융-복합되어있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실제로 게임 개발을 교육에 접목한 사례를 보면,

    먼저 Unplugged 교육으로는 직접 개발할 장르의 게임을 직접 해보면서 게임의 요소를 파악해보고,
    규칙, 레벨, 캐릭터 디자인을 통해 직접 자신이 게임을 설계해본다.
    그 뒤에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는데, 이 때 gamesalad 등 개발 접근성이 쉬운 엔진을 통해 스스로 게임을 개발하고 출시하는 과정을 경험해본다.
    실제 외국 사례를 보면, YGD라는 청소년 게임 개발 대회가 있는데, 이 대회의 특징은 시상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게임 개발까지 지속적인 교육을 지원해준다는 점이다. 굳이 이 프로그램 뿐이 아니라도 미국 전역에 약 140여개의 프로그램이 있다고 합니다.

  • 게임 개발은 단지 개발의 요소뿐이 아니라 공학-과학-수학이 합쳐지는 융합적 교육이다.

  • 그 뿐 아니라 팀 개발을 통해 타인과 협업을 하는 법을 알고, 개발 과정에 게임이 포함하는 수많은 분야 속에서 자신의 적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진로교육의 측면에서까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겁니다.


3. 진화심리학으로 풀어 본 게임의 몰입 요소 - 우리의 원시적 뇌는 무엇을 욕망하는가?

By 서기슬, 한국과학기술원


  • 우리가 게임을 할 때의 생각 과정에는 원시시대부터의 메카니즘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 "왜?" 라는 질문과 "그냥" 이라는 대답에는 중요한 관계가 있다.

    사람의 기본적 본능인 놀이 본능이라는 것이다.
    모든 놀이를 게임이라고 할 수 없겠지만, 게임의 핵심적인 기반은 '놀이' 인 것이다.

  • 진화심리학은 "왜?"와 "그냥"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각 개체마다 생존 혹은 번식의 확률이 다 다르다.
    이때 생존하여 번식한 개체가 후대로 전달되는 것을 자연선택이라고 한다.
    자연선택으로 생존한 종은 세대를 거쳐 주변환경에 적응하도록 변화한다.
    인간 심리를 이러한 진화의 적응에 연관시켜 이해 및 해석하고자 하는 심리학을 진화심리학이라고 한다.

  • 진화심리학에서 인간 심리는 진화를 통한 적응, 그로 인한 결과물이라고 판단한다.

    게임기획에서 심리학 이론이 아이디어의 효과성을 추론할 때 이용 가능하게 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적용하려는 아이디어에 전례가 없을 때 이론과 가설을 통해 결과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