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6. Hall Effect, Quasi Fermi Level

6. Hall Effect, Quasi Fermi Level

Hall Effect

  • 물질에 자기장과 그에 수직한 전압을 가해 주면 majority carrier와 캐리어 농도, mobility를 분석 가능
  • 자계 내에서 움직이는 전하는 F=qv×BF=qv\times B의 로렌츠 힘을 받음
  • 자계와 전압에 모두 수직한 방향으로 전위차 VHV_H 형성
    • n-type에서는 (-), p-type에서는 (+)전압 형성
    • 정공이 만약 VB 전자의 빈 자리라고 할 경우 p-type 반도체의 VHV_H 역시 전자에 의해 (-)전압이 형성된다.
    • 하지만 실제로는 (+)전압이 형성되므로 정공 역시 빈 자리가 아닌 실제 입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Hall 전압이 가해지면 전위차에 의한 induced electric field가 형성
  • 로렌츠 힘은 (-) > (+), 전계는 (+) > (-) 방향으로 형성
  • steady state에서 F=q[E+v×B]=0F=q[E+v\times B]=0
    • 홀 전압 VH=EHW=EYW=vXBZWV_H=E_HW=E_YW=v_XB_ZW

    • p-type : vX=JX/qp=IX/qpWdv_X=J_X/qp=I_X/qpWd

      • VH=IXBZ/qpdV_H=I_XB_Z/qpd
      • p=IXBZ/qdVHp=I_XB_Z/qdV_H
    • n-type : vX=JX/qn=IX/qnWdv_X=-J_X/qn=-I_X/qnWd

      • VH=IXBZ/qndV_H=-I_XB_Z/qnd
      • n=IXBZ/qdVHn=I_XB_Z/qd|V_H|
    • mobility μ=IXL/qpVXWd=IXL/qnVXWd\mu=I_XL/qpV_XWd=I_XL/qnV_XWd

  • Hall Coefficient RHR_H
    • RHn=1/qnR_{Hn}=-1/qn
    • RHp=1/qpR_{Hp}=1/qp

Quasi-Fermi Level

  • non-equilibrium 상태에서는 mass action law가 만족하지 않음 ( npni2np\not ={n_i^2} )
  • 그러므로 전자, 정공에 대한 quasi-fermi level을 각각 정의
    • n=n0+Δn=niexp[(FNEi)/kT]n=n_0+\Delta n=n_iexp[(F_N-E_i)/kT]
      • FN=Ei+kTln(n/ni)F_N=E_i+kTln(n/n_i)
    • p=p0+Δp=niexp[(EiFP)/kT]p=p_0+\Delta p=n_iexp[(E_i-F_P)/kT]
      • FP=EikTln(p/ni)F_P=E_i-kTln(p/n_i)
    • np=ni2exp[(FNFP)/kT]np=n_i^2exp[(F_N-F_P)/kT]
  • FN>FPF_N>F_P : Carrier excess ( np>ni2np>n_i^2 )
  • FN<FPF_N<F_P : Carrier deficit ( np<ni2np<n_i^2 )
  • FN=FP=EFF_N=F_P=E_F : equilibrium ( np=ni2np=n_i^2 )

  • Low level injection 하에서 페르미 레벨 대비 minority carrier의 quasi fermi level은 majority carrier보다 큰 차이를 보임
    • ex. n0=1015n_0=10^{15} , p0=105p_0=10^5 , ni=1010n_i=10^{10} , Δn=Δp=1011\Delta n=\Delta p=10^{11}
    • FN=Ei+kTln(n/ni)Ei+kTln(n0/ni)=Ei+kTln(105)F_N=E_i+kTln(n/n_i)\simeq E_i+kTln(n_0/n_i)=E_i+kTln(10^5)
    • FP=EikTln(p/ni)EikTln(Δp/ni)=EikTln(10)F_P=E_i-kTln(p/n_i)\simeq E_i-kTln(\Delta p/n_i)=E_i-kTln(10)
    • EF=Ei+kTln(n0/ni)=EikTln(p0/ni)=Ei+kTln(105)E_F=E_i+kTln(n_0/n_i)=E_i-kTln(p_0/n_i)=E_i+kTln(10^5)

  • 전류밀도 = diffusion + drift
    • JP=qpμpEqDppJ_P=qp\mu_pE-qD_p\nabla p

    • p=nikTe(EiEF)/kT(EiFP)=qpkTEpFPkT\nabla p=\frac{n_i}{kT}e^{(E_i-E_F)/kT}(\nabla E_i-\nabla F_P)=\frac{qp}{kT}E-\frac{p\nabla F_P}{kT}

      • Ei=qE\nabla E_i=qE
      • EiE_i, FPF_P는 상수가 아니므로 각각 미분
    • JP=qpE(μpqDPkT)+qpDpkTFP=μppFPJ_P=qpE(\mu_p-\frac{qD_P}{kT})+\frac{qpD_p}{kT}\nabla F_P=\mu_pp\nabla F_P

      • μp=qDpkT\mu_p=\frac{qD_p}{kT} (einstein relationship)
  • {JP=μppFp=μpp(FPEi)+μppEiJN=μnnFn=μnn(FNEi)+μnnEi\begin{cases} J_P=\mu_pp\nabla F_p=\mu_pp\nabla(F_P-E_i)+\mu_pp\nabla E_i\\ J_N=\mu_nn\nabla F_n=\mu_nn\nabla(F_N-E_i)+\mu_nn\nabla E_i \end{cases}
    • μpp(FPEi)\mu_pp\nabla(F_P-E_i) : Drift Current
    • μppEi\mu_pp\nabla E_i : Diffusion Current

Pulse Doping

  • 특정 위치에 대해서만 Donor 도핑 시
    • 도핑 중심 영역은 균일한 농도를 갖게 되므로 변화가 없음, 도핑 농도가 변화하는 지점에 대해서 drift + diffusion
      • 도핑된 위치를 중심으로 바깥으로 diffusion
      • 이온화된 Donor과 확산된 전자에 의한 전계 형성, 도핑 농도가 높은 쪽으로 전자 drift
    • 도핑 농도차가 생기는 지점을 경계로 안쪽은 +, 바깥쪽은 - 전하가 쌓여 equilibrium 상태
728x90
728x90
5. Equation of State

5. Equation of State

Equations of state

  • 실제 반도체에서 carrier action(generation, recombination, diffusion, drift)은 동시에 발생
  • 그 결과 전자 및 정공 농도, 전위에 영향
  • Equations of state
    • 반도체의 상태를 완벽하게 설명하기 위한 방정식
    • carrier action의 효과를 모두 고려
    • n(x,y,z,t), p(x,y,z,t), V(x,y,z,t)n(x,y,z,t),\ p(x,y,z,t),\ V(x,y,z,t)로 표현

  • Continuity Equation의 도출 과정

    • 생성-결합을 제외한 보존 법칙 : J=ρt\nabla\cdot J=-\frac{\partial\rho}{\partial t}
      • 전자의 ρ=qn\rho=-qn
        J=qnt\nabla\cdot J=q\frac{\partial n}{\partial t}

      • 정공의 ρ=qp\rho=qp
        J=qpt\nabla\cdot J=q\frac{\partial p}{\partial t}

    • 생성-결합을 고려한 Continuity Equations
      • nt=ntdrift+ntdiff+ntthermalRG+ntother\frac{\partial n}{\partial t}=\frac{\partial n}{\partial t}|_{drift}+\frac{\partial n}{\partial t}|_{diff}+\frac{\partial n}{\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n}{\partial t}|_{other}
        =1qJN+ntthermalRG+ntother=\frac{1}{q}\nabla\cdot J_N+\frac{\partial n}{\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n}{\partial t}|_{other}

      • pt=ptdrift+ptdiff+ptthermalRG+ptother\frac{\partial p}{\partial t}=\frac{\partial p}{\partial t}|_{drift}+\frac{\partial p}{\partial t}|_{diff}+\frac{\partial p}{\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p}{\partial t}|_{other}
        =1qJP+ptthermalRG+ptother=-\frac{1}{q}\nabla\cdot J_P+\frac{\partial p}{\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p}{\partial t}|_{other}

  • 반도체의 상태 - 전자, 정공, 전위(Eq. of states) - 밴드 다이어그램은 서로 연관되어있는 상태

    • 에너지 밴드를 그릴 수 있다 = 반도체 상태를 알 수 있다 = 정공, 전자, 전위를 안다

  • Equation Set used in Semiconductor device
    • Conservation Law : 위치에 대한 비선형 2차 편미분방정식

      • 1qJN+ntthermalRG+ntother\frac{1}{q}\nabla\cdot J_N+\frac{\partial n}{\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n}{\partial t}|_{other}

      • 1qJP+ptthermalRG+ptother-\frac{1}{q}\nabla\cdot J_P+\frac{\partial p}{\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p}{\partial t}|_{other}

      • D=ρ\nabla\cdot D=\rho ( 2V=ρ/ϵ\nabla^2V=-\rho/\epsilon )

    • Constitutive Relations

      • ρ=q(ND++pNAn)\rho=q(N_D^++p-N_A^--n) : Charge Neutality Condition
      • D=ϵED=-\epsilon E
      • JN=qnμnE+pDNnJ_N=qn\mu_nE+pD_N\nabla n
      • JP=qpμpEqDppJ_P=qp\mu_pE-qD_p\nabla p
    • 매우 작은 반도체 구조에는 슈뢰딩거 방정식 역시 고려


Minority Carrier Diffusion Equation

  • 계산을 위한 가정

    • 1차원 분석

    • minority carrier에 의해 majority carrier가 구해짐

    • 전계는 매우 작음 (= Diffusion Equation)

    • uniform doping

      • 선형방정식 유도
      • uniform doping : n=n0(x,y,z)+Δn(t)n=n_0(x,y,z)+\Delta n(t)에서 n0n_0는 위치에 무관한 상수
    • low-level injection

      • nonequilibrium 상태에 의한 초과 캐리어는 majority 캐리어 농도보다 매우 작다.
      • Δn(t)<<n0\Delta n(t)<<n_0
    • 열에 의한 생성-재결합은 캐리어 농도 변화에 의해 간접적으로 발생

    • 추가적인 변화는 빛 에너지에 의해서만 발생

  • Minority Carrier Diffusion Equation

    • Δnpt=DN2Δnpx2Δnpτn+GL\frac{\partial\Delta n_p}{\partial t}=D_N\frac{\partial^2\Delta n_p}{\partial x^2}-\frac{\Delta n_p}{\tau_n}+G_L (p-type)

    • Δpnt=DP2Δpnx2Δpnτp+GL\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frac{\Delta p_n}{\tau_p}+G_L (n-type)

    • Steady State : Δnpt\frac{\partial\Delta n_p}{\partial t} ( Δpnt\frac{\partial\Delta p_n}{\partial t} ) =0=0

    • No Concentration Gradient (No Diffusion, Uniformly Generated) :
      DP2Δnpx2D_P\frac{\partial^2\Delta n_p}{\partial x^2} ( DP2Δpnx2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 ) =0=0

    • No Thermal R-G : Δnpτn\frac{\Delta n_p}{\tau_n} ( Δpnτp\frac{\Delta p_n}{\tau_p} ) =0=0

    • No Light : GL=0G_L=0


Solutions of Minority Carrier Diffusion Equation

  • 주어진 조건 파악 : 반도체 물질, 온도, 전자-정공 농도, lifetime, 외부 자극 등등
  • 초기 상태 정의 : Fully-ionized 상태에서의 전자, 정공 농도
  • 방정식 조건 분석 : Steady State, No Diffusion 등등
  • 방정식 풀이 계산
  • 계산한 해가 앞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재확인

  • ex. room temperature, uniformly generated, n-type
    • minority carrier : DP2Δpnx2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 =0=0 이므로

    • Δpnt=Δpnτp+GL\frac{\partial\Delta p_n}{\partial t}=-\frac{\Delta p_n}{\tau_p}+G_L

    • initial condition : Δpn(t=0)=0\Delta p_n(t=0)=0

    • Δpn(t)=GLτp(1exp[t/τp])\therefore \Delta p_n(t)=G_L\tau_p(1-exp[-t/\tau_p])

  • 시간이 흐름에 따라 excess carrier는 0에서 Δp\Delta p를 향해 수렴
  • 재확인
    • GLτpG_L\tau_p의 단위는 1/cm31/cm^3, 정공 농도와 단위 동일
    • low-level injection validity 확인

  • ex 2. room temperature, surface generated, n-type, GL=0G_L=0
    • steady state : Δpnt=DP2Δpnx2Δpnτp=0\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frac{\Delta p_n}{\tau_p} = 0

    • General Solution : Δpn(x)=Aex/Dpτp+Bex/Dpτp\Delta p_n(x)=Ae^{-x/D_p\tau_p}+Be^{x/D_p\tau_p}

    • surface generation

      • Δpn(0)=ΔPn0\Delta p_n(0)=\Delta P_{n0} , Δpn()=0\Delta p_n(\infty)=0
      • 표면에서만 excess carrier 생성
    • Δpn(x)=ΔPn0exp[x/DPτp ]\therefore \Delta p_n(x)=\Delta P_{n0}exp[-x/\sqrt{D_P\tau_p}\ ]

    • DpτpLp\sqrt{D_p\tau_p}\equiv L_p : hole diffusion length

    • diffusion length

      • <x>=xΔpn(x)Δpn(x)<x>=\frac{\int x\Delta p_n(x)}{\int \Delta p_n(x)}는 x=0일 때 Δpn(x)\Delta p_n(x)의 접선으로 나타남
      • 기댓값 <x><x>는 거리의 평균값, 즉 Diffusion에 의해 평균적으로 캐리어가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
      • 캐리어의 이동 거리는 전속밀도 DD와 lifetime τ\tau에 비례하게 됨

  • ex3. local carrier generation, n-type
    • 특정 지점에서 Electron-hole pair가 계속 생성

    • steady state : Δpnt=DP2Δpnx2Δpnτp+gδ(x)=0\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frac{\Delta p_n}{\tau_p} +g\delta(x)= 0

    • boundary condition : Δp(±)=0\Delta p(\pm\infty)=0

      • 생성 지점 좌우로 diffusion
    • Δp(x)={Aexp(x/LN) : x<0Aexp(x/LN) : x0\Delta p(x)=\begin{cases} Aexp(x/L_N)\ :\ x<0\\ Aexp(-x/L_N)\ :\ x\geq0 \end{cases}

    • 델타함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 계산 : 00^-~0+0^+ 적분

      • A=gLN/2DNA=gL_N/2D_N
      • Δp(x)={(gLN/2DN) exp(x/LN) : x<0(gLN/2DN) exp(x/LN) : x0\therefore\Delta p(x)=\begin{cases} (gL_N/2D_N)\ exp(x/L_N)\ :\ x<0\\ (gL_N/2D_N)\ exp(-x/L_N)\ :\ x\geq0 \end{cases}

  • ex4. Instant local carrier generation, n-type, drift & diffusion
    • ex3과 다르게 1회성 EHP 생성

    • Δpnt=DP2Δpnx2μpϵ0ΔpnxΔpnτp\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mu_p\epsilon_0\frac{\partial\Delta p_n}{\partial x}-\frac{\Delta p_n}{\tau_p}

    • diffusion에 의해 시간이 흐를수록 가우시안 형태의 분포가 폭이 넒어짐

      • Δp(x,t)=p(x,t)exp[t/τp]\Delta p(x,t)=p'(x,t)exp[-t/\tau_p]
    • boundary condition : Δp(±)=0\Delta p(\pm\infty)=0

    • 미분방정식에 위의 해 대입

      • Δpt=DP2px2μpϵ0px\frac{\Delta p'}{\partial t}=D_P\frac{\partial^2p'}{\partial x^2}-\mu_p\epsilon_0\frac{\partial p'}{\partial x}
      • p(x,t)=Δps4πDPtexp[(xμpϵ0t)24DPt](cm2)\therefore p'(x,t)=\frac{\Delta p_s}{\sqrt{4\pi D_Pt}}exp[-\frac{(x-\mu_p\epsilon_0t)^2}{4D_Pt}](cm^{-2})
      • Δps\Delta p_s : Electron hole pair 생성에 의한 excess carrier
    • pp'를 위 해에 대입

      • Δp(x,t)=Δps exp[t/τP]4πDPtexp[(xμpϵ0t)24DPt](cm2)\Delta p(x,t)=\frac{\Delta p_s\ exp[-t/\tau_P]}{\sqrt{4\pi D_Pt}}exp[-\frac{(x-\mu_p\epsilon_0t)^2}{4D_Pt}](cm^{-2})
      • et/τPe^{-t/\tau_P} : 재결합에 의한 excess carrier 농도 감소
      • 4πDPt\sqrt{4\pi D_Pt} : diffusion에 의한 peak 농도 감소
      • 4DPt4D_Pt : diffusion에 의한 분포 폭 증가
      • (xμpϵ0t)2(x-\mu_p\epsilon_0t)^2 : drift에 의한 shift
    • 재확인

      • Δps=0\Delta p_s=0
        • Electron-Hole pair 생성이 없음
        • Δp(x,t)\Delta p(x,t)=0
      • limiting case
        • τp=0\tau_p=0
          • excess carrier 생성 즉시 소멸
          • et/τP=0e^{-t/\tau_P}=0이 되므로 Δp(x,t)=0\Delta p(x,t)=0
        • DP=D_P=\infty or t=t=\infty
          • 생성된 excess carrier가 완전히 diffusion
          • Δp(x,t)=0\Delta p(x,t)=0
728x90
728x90
1. Expected Value of R.V function

1. Expected Value of R.V function

  • N개 R.V. 함수에 대해서
    • E[X]=xfX(x)dxE[X]=\int xf_X(x)dx
    • R.V. Z=X+Y일 때 E[Z]=(X+Y)fX,Y(x,y)dxdy=E[X]+E[Y]E[Z]=\int^\infty_{-\infty}\int^\infty_{-\infty}(X+Y)f_{X,Y}(x,y)dxdy=E[X]+E[Y]
    • 함수 g(x,y)에 대해 g=EX,Y[g(x,y)]=g(x,y)fX,Y(x,y)dxdy\overline{g}=E_{X,Y}[g(x,y)]=\int^\infty_{-\infty}\int^\infty_{-\infty}g(x,y)f_{X,Y}(x,y)dxdy
    • E[iαiXi]=iαiE[Xi]E[\sum_i\alpha_iX_i]=\sum_i\alpha_iE[X_i]

결합 Moment

  • mnkEX,Y[XnYk]=xnykfX,Y(x,y)dxdym_{nk}\equiv E_{X,Y}[X^nY^k]=\int^\infty_{-\infty}\int^\infty_{-\infty}x^ny^kf_{X,Y}(x,y)dxdy
  • mn0=E[Xn]m_{n0}=E[X^n], m0k=E[Yk]m_{0k}=E[Y^k]
  • n+k = moment의 차수
  • Correlation(상관관계) : RXY=m11=EX,Y[XY]R_{XY}=m_{11}=E_{X,Y}[XY]
    • E[XY]=E[X]E[Y]E[XY]=E[X]E[Y]면 uncorrelated
    • 독립시행이면 uncorrelated
    • correlated면 독립이 아님
    • 하지만 uncorrelated라고 해서 독립인 것은 아님
    • RXY=0R_{XY}=0이면 X와 Y는 직교(orthogonal)한다고 표현

결합 Central Moment

  • μnk=EX,Y[(XX)n(YY)k]\mu_{nk}=E_{X,Y}[(X-\overline{X})^n(Y-\overline{Y})^k]
  • 랜덤변수의 분산 : μ20=σX2\mu_{20}=\sigma_X^2, μ02=σY@\mu_{02}=\sigma_Y^@
  • Covariance : CXY=CYX=μ11C_{XY}=C_{YX}=\mu_{11}
    =E[(XX)(YY)]=E[XY]XY=RXYXY=E[(X-\overline{X})(Y-\overline{Y})]=E[XY]-\overline{XY}=R_{XY}-\overline{XY}
    • CXY=0C_{XY}=0이면 uncorrelated
    • CXY=E[X]E[Y]C_{XY}=-E[X]E[Y]면 orthogonal
    •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 ρ=μ11μ20μ02=CXYσXσY=E[xμxσxyμyσy]\rho=\frac{\mu_{11}}{\sqrt{\mu_{20}\mu_{02}{}}}=\frac{C_{XY}}{\sigma_X\sigma_Y}=E[\frac{x-\mu_x}{\sigma_x}\frac{y-\mu_y}{\sigma_y}]
      • 상관계수의 크기는 항상 1보다 작음
  • 증명 : Cauchy-Schwarz inequality

    f(x)=xμxσxfX,Y(x,y)f(x)=\frac{x-\mu_x}{\sigma_x}f_{X,Y}(x,y), g(y)=yμyσyfX,Y(x,y)g(y)=\frac{y-\mu_y}{\sigma_y}f_{X,Y}(x,y)
    가우스 분포이므로 우변은 1이 됨. 1ρ1\therefore -1\leq|\rho|\leq1

2. Joint Characteristic Function

  • ΦX,Y(w1,w2)=E[ exp[jw1X+jw2Y] ]\Phi_{X,Y}(w_1, w_2)=E[\ exp[jw_1X+jw_2Y]\ ]
    =fX,Y(x,y)exp[jw1X+jw2Y]dxdy=\int^\infty_{-\infty}\int^\infty_{-\infty}f_{X,Y}(x,y)exp[jw_1X+jw_2Y]dxdy
  • inverse Ch. : fX,Y(x,y)=1(2π)2ΦX,Y(w1,w2)exp[(jw1X+jw2Y)]dw1dw2f_{X,Y}(x,y)=\frac{1}{(2\pi)^2}\int^\infty_{-\infty}\int^\infty_{-\infty}\Phi_{X,Y}(w_1,w_2)exp[-(jw_1X+jw_2Y)]dw_1dw_2
  • marginality : ΦX(w)=ΦX,Y(w,0)\Phi_X(w)=\Phi_{X,Y}(w,0)
  • Joint Moment : mn,k=(j)n+kn+kΦX,Y(w1,w2)w1nw2kw1=w2=0m_{n,k}=(-j)^{n+k}\frac{\partial^{n+k}\Phi_{X,Y}(w_1,w_2)}{\partial w_1^n\partial w_2^k}|_{w1=w2=0}

3. Joint Gaussian Random Variable

  • fX(x)=1(2π)n(det)exp[12(Xμ)T1(Xμ)]f_{\it{X}}(x)=\large{\frac{1}{\sqrt{(2\pi)^n(det\sum)}}exp[-\frac{1}{2}(X-\mu)^{T}\sum^{-1}(X-\mu)]}
  • 2차원 Gaussian R.V.에 대해
    • =[σx2ρσxσyρσxσyσy2]\sum=\begin{bmatrix} \sigma_x^2&\rho\sigma_x\sigma_y\\ \rho\sigma_x\sigma_y&\sigma_y^2 \end{bmatrix}
    • 1=11ρ2[1σx2ρσxσyρσxσy1σy2]\sum^{-1}=\frac{1}{1-\rho^2}\begin{bmatrix} \frac{1}{\sigma_x^2}&-\frac{\rho}{\sigma_x\sigma_y}\\ -\frac{\rho}{\sigma_x\sigma_y}&\frac{1}{\sigma_y^2} \end{bmatrix}
    • det=σX2σY2(1ρ2)det\sum=\sigma_X^2\sigma_Y^2(1-\rho^2)
    • fX,Y(x,y)=12πσXσY1ρ2exp[12(1ρ2)[(xμxσX)22ρ(xμxσX)(yμyσY)+(yμyσY)2]]f_{X,Y}(x,y)=\frac{1}{2\pi\sigma_X\sigma_Y\sqrt{1-\rho^2}}exp[-\frac{1}{2(1-\rho^2)}[(\frac{x-\mu_x}{\sigma_X})^2-2\rho(\frac{x-\mu_x}{\sigma_X})(\frac{y-\mu_y}{\sigma_Y})+(\frac{y-\mu_y}{\sigma_Y})^2]]

  • property : 2차원 joint gaussian R.V fX,Y(x,y)f_{X,Y}(x,y)
    • XX~N(μx,σX2)N(\mu_x,\sigma_X^2)
    • E[(Xμx)(Yμy)]=ρσXσYE[(X-\mu_x)(Y-\mu_y)]=\rho\sigma_X\sigma Y(Covariance)
    • E[XY]=ρσXσY+μxμyE[XY]=\rho\sigma_X\sigma Y+\mu_x\mu_y
  • X,Y가 joint Gaussian이고 ρ=0\rho=0이면 uncorrelated
  • 임의의 uncorrelated한 gaussian R.V.는 독립
  • 가우시안의 선형 transform, marginal, conditional distribution은 모두 gaussian

  • Linear Transform(Coordination Rotation)
    • 랜덤변수 X, Y를 uncorrelated한 랜덤변수로 선형 변환(각도 θ\theta로 회전)
    • [Y1Y2]\begin{bmatrix} Y_1\\ Y_2 \end{bmatrix}=[cosθsinθsinθcosθ]=\begin{bmatrix} cos\theta&sin\theta\\ sin\theta&cos\theta \end{bmatrix} [XY]\begin{bmatrix} X\\ Y \end{bmatrix}
    • CY1Y2=(σY2sigmaX2)sin2θ2+CXYcos2θC_{Y_1Y_2}=(\sigma_Y^2-sigma_X^2)\frac{sin2\theta}{2}+C_{XY}cos2\theta
      • 위 식이 0일 때 uncorrelated
      • θ=12tan1[2ρσXσYσX2σY2]\theta=\frac{1}{2}tan^{-1}[\frac{2\rho\sigma_X\sigma_ Y}{\sigma_X^2-\sigma_Y^2}]

4. Transformation of Multiple Random Variables

  • N차원 랜덤변수 T : Y=g(X1,X2,....XN)T\ :\ Y=g(X_1,X_2,....X_N)이 있다고 할 때
    • FY(y)=P(g()y)F_Y(y)=P(g()\leq y)
      ...fX1,...,XN(x1,...,xN)dx1...dxN\int...\int f_{X_1,...,X_N}(x_1,...,x_N)dx_1...dx_N
    • fY(y)=dFY(y)dyf_Y(y)=\frac{dF_Y(y)}{dy}
      =fX(x1,...xN)J=f_X(x_1,...x_N)|J|
      • x1=T1(y),...,xN=TN1(y)x_1=T^{-1}(y),...,x_N=T_N^{-1}(y)
      • y=[y1,...yN]Ty=[y_1,...y_N]^T
      • J=[T11y1...T11yN.........TN1y1...TN1yN]J=\begin{bmatrix} \frac{\partial T_1^{-1}}{\partial y_1}&...&\frac{\partial T_1^{-1}}{\partial y_N}\\ ...&...&...\\ \frac{\partial T_N^{-1}}{\partial y_1}&...&\frac{\partial T_N^{-1}}{\partial y_N} \end{bmatrix}
      • J : Jacobian determinant
        • 실수값 p에대해 J가 0이 아니면 함수 f는 역함수가 존재
        • p에서 J의 절대값은 그 점에서의 수축/확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

  • ex.{Y1=aX1+bX2Y2=cX1+dX2\begin{cases} Y_1=aX_1+bX_2\\ Y_2=cX_1+dX_2 \end{cases} : [Y1Y2]\begin{bmatrix} Y_1\\ Y_2 \end{bmatrix} =[abcd]=\begin{bmatrix} a&b\\ c&d \end{bmatrix} [X1X2]\begin{bmatrix} X_1\\ X_2 \end{bmatrix}
    • fY1,Y2(y1,y2)=fX1,X2(x1,x2)(x1,x2)(y1,y2)f_{Y_1,Y_2}(y_1,y_2)=f_{X_1,X_2}(x_1,x_2)|\frac{\partial(x_1,x_2)}{\partial(y_1,y_2)}|
      =fX1,X2(x1,x2) / (y1,y2)(x1,x2)=fX1,X2(x1,x2) / [abcd]=f_{X_1,X_2}(x_1,x_2)\ /\ |\frac{\partial(y_1,y_2)}{\partial(x_1,x_2)}|=f_{X_1,X_2}(x_1,x_2)\ /\ |\begin{bmatrix} a&b\\ c&d \end{bmatrix}|
      =1adbcfX1,X2(dy1by2adbc,cy1+ay2adbc)=\frac{1}{|ad-bc|}f_{X_1,X_2}(\frac{dy_1-by_2}{ad-bc},\frac{-cy_1+ay_2}{ad-bc})

5. Estimation

Estimation of Mean

  • 랜덤한 N개 값에서의 sample mean :
    • xN^=1Nn=1Nxn\hat{\overline{x_N}}=\frac{1}{N}\sum^N_{n=1}x_n
  • N개 random variable에서 추정한 sample mean :
    • XN^=1Nn=1NXn\hat{\overline{X_N}}=\frac{1}{N}\sum^N_{n=1}X_n
  • 좋은 Estimate의 조건
    • unbiased : 예측값의 평균이 실제 평균으로 수렴할 것
      • E[XN^]=E[1NXn]=1NE[Xn]=XE[\hat{\overline{X_N}}]=E[\frac{1}{N}\sum X_n]=\frac{1}{N}\sum E[X_n]=\overline{X}
    • 예측값의 분산이 최소값이 될 것
      • E[(XN^X)2]=E[XN^2]X2=σX2NE[(\hat{\overline{X_N}}-\overline{X})^2]=E[\hat{\overline{X_N}}^2]-\overline{X}^2=\frac{\sigma_X^2}{N}
      • sample 개수 N이 충분히 커지면 sample 분산은 0으로 수렴
  • Chebychev's Inequality
    • P(XN^X<ϵ)1σXN^2ϵ2=1σX2Nϵ2P(|\hat{\overline{X_N}}-\overline{X}|<\epsilon)\geq1-\frac{\sigma_{\hat{\overline{X_N}}}^2}{\epsilon^2}=1-\frac{\sigma_X^2}{N\epsilon^2}
    • N이 충분히 큰 상태에서 sample mean과 X의 실제 mean이 같을 확률은 1로 수렴

Estimation of Variance

  • sample variance VN1N(XnXN^)2V_N\equiv\frac{1}{N}\sum(X_n-\hat{\overline{X_N}})^2으로 sample variance를 가정
  • E[VN]=N1NσXE[V_N]=\frac{N-1}{N}\sigma_X이므로 not unbiased
    • 양변에 1N1\frac{1}{N-1}을 곱해 unbiased인 분산의 예측값을 계산 가능
    • σX^2=1N1(XnXN^)2\hat{\sigma_X}^2=\frac{1}{N-1}\sum(X_n-\hat{\overline{X_N}})^2

Law of large numbers

  • weak law : 충분히 큰 N에 대해서 sample mean은 실제 평균과 동일
  • strong law : 충분히 큰 N에 대해서 sample mean이 실제 평균과 동일할 확률이 1로 수렴
728x90
728x90
Rating Problem

Entropy

  • 정보량에서의 Entropy : 정보의 양이 아닌, 랜덤변수에 정의되는 성질
  • 정보의 가치는 당연한 사실일수록 낮을 것이며,
  • 예측이 가능하지 않을수록, 즉 불확실성(Uncertainty)이 높을수록 정보량이 많아짐
  • 정보가 예측가능한 것이라면 정보의 가치가 없게됨
  • 결국, 발생 확률이 작을수록 정보의 가치가 높음
  • 따라서, 정보량은 발생 확률의 반비례적인 함수이어야 됨
  • 출처 : ktword - 정보량
  •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정보량이 많아진다
  • ex. 동전 1개를 던질 때의 entropy
    • h(X)=Pilog2Pih(X) = -\sum P_ilog_2 P_i

    • PX(x)={1/2(x=0)1/2(x=1)P_X(x) = \begin{cases} 1/2(x=0)\\ 1/2(x=1) \end{cases}

    • h(x)=12log21212log212=1h(x) = -\frac{1}{2}log_2\frac{1}{2}-\frac{1}{2}log_2\frac{1}{2}=1

  • ex2. 주사위 던지기
    • h(x)=6×16×log26=2.585h(x) = 6 \times\frac{1}{6}\times\log_26 = 2.585
    • 만약 주사위 1000개를 던진다면 2585bit가 필요
  • morse code
    • 영단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e, t의 부호가 가장 짧다.
    • 엔트로피 정의를 보면 h(X)=PilogPih(X) = -\sum P_ilog P_i에서 정보의 출현 확률과 엔트로피(정보량)은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 엔트로피가 작다
    = PMF가 편중되어 있는 상태(물리에서의 엔트로피와 비슷하게 해석)
728x90
728x90
Rating Problem

Rating Problem

https://youtu.be/8idr1WZ1A7Q

  • 평점의 정확도 판단을 판단해보자

    • n : 리뷰의 개수
    • k : '좋아요' 를 남긴 개수
    • p : 리뷰를 남기는 사람이 '좋아요'를 달 확률
    • n과 k를 이용하여 p를 계산, p가 높을 수록 좋은 제품이라고 추정 가능
  • Bayes rule : P(A∣B)=P(B∣A)P(A)P(B)P(A|B) = \frac{P(B|A)P(A)}{P(B)}

    • P(Θ=p∣N=n,K=k)=P(K=k∣Θ=p,N=n)P(Θ=p∣N=n)P(K=k∣N=n)P(\Theta=p|N=n, K=k) = \frac{P(K=k|\Theta=p,N=n)P(\Theta=p|N=n)}{P(K=k|N=n)}
    • 사후 확률 : [n개 리뷰, k개 좋아요일 때 | 좋아요를 달게 될 확률이 p인 확률]
    • 인과 : [좋아요를 달 확률이 p일 때 리뷰가 n개인 경우 | k개 좋아요일 확률]
    • 사전 확률 : [n개 리뷰일 때 | 좋아요 확률이 p일 확률]
      • P(Θ=p∣N=n)=P(Θ=p)P(\Theta=p|N=n) = P(\Theta=p)로 판단 가능
    • 관찰 결과 : [n개 리뷰 때 | k개 좋아요의 확률]
  • P(K=k∣Θ=p,N=n)=(nk)pk(1−p)n−kP(K=k|\Theta=p,N=n)=\binom{n}{k}p^k(1-p)^{n-k}(이항분포)

  • P(Θ=p)P(\Theta=p)Beta(α,β)=pα−1(1−p)β−1∫01qα−1(1−q)β−1dq=pα−1(1−p)β−1B(α,β)Beta(\alpha, \beta) = \frac{p^{\alpha-1}(1-p)^{\beta-1}}{\int^1_0q^{\alpha-1}(1-q)^{\beta-1}dq} = \frac{p^{\alpha-1}(1-p)^{\beta-1}}{B(\alpha,\beta)} 로 가정

  • P(K=k∣N=n)=∫01P(K=k∣Θ=q,N=n)fΘ(q)dqP(K=k|N=n) = \int^1_0P(K=k|\Theta=q,N=n)f_{\Theta}(q)dq

  • P(Θ=p∣N=n,K=k)P(\Theta=p|N=n, K=k) 식을 정리하면
    (nk)pk(1−p)n−kBeta(2,2)∫01(nk)qk(1−q)n−kBeta(2,2)dq=pk+1(1−p)n−k+1∫01qk+1(1−q)n−k+1dq\frac{\binom{n}{k}p^{k}(1-p)^{n-k}Beta(2,2)}{\int^1_0\binom{n}{k}q^{k}(1-q)^{n-k}Beta(2,2)dq} = \frac{p^{k+1}(1-p)^{n-k+1}}{\int^1_0q^{k+1}(1-q)^{n-k+1}dq}
    즉 베타분포 B(k+2,n−k+2)B(k+2, n-k+2)의 식으로 나타남

  • 이 식의 최빈값은 mode=a−1a+b−2=k+1n+2mode = \frac{a-1}{a+b-2}=\frac{k+1}{n+2}로 나타난다.

  • 아래 두 선은 n=1, 2인 경우, 노란 선은 n=1000인 경우, 시행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포의 평균이 더 높은 확률로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이를 통한 3가지 경우를 가정

(n,k) (10,10) (50,48) (200,186)
B(k+2,n−k+2)B(k+2, n-k+2) B(12,2) B(62,4) B(202,16)

  • 적색 : (10,10) / 녹색 : (50, 48) / 청색 : (200, 186)
  • 즉 50명 중 48명이 좋아요를 누른 경우가 좋아요를 누를 확률이 대략 94.2%가 됨을 알 수 있다.

Entropy

  • 정보량에서의 Entropy : 정보의 양이 아닌, 랜덤변수에 정의되는 성질
  • 정보의 가치는 당연한 사실일수록 낮을 것이며,
  • 예측이 가능하지 않을수록, 즉 불확실성(Uncertainty)이 높을수록 정보량이 많아짐
  • 정보가 예측가능한 것이라면 정보의 가치가 없게됨
  • 결국, 발생 확률이 작을수록 정보의 가치가 높음
  • 따라서, 정보량은 발생 확률의 반비례적인 함수이어야 됨
  • 출처 : ktword - 정보량
  •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정보량이 많아진다
  • ex. 동전 1개를 던질 때의 entropy
    • h(X)=−∑Pilog2Pih(X) = -\sum P_ilog_2 P_i

    • PX(x)={1/2(x=0)1/2(x=1)P_X(x) = \begin{cases} 1/2(x=0)\\ 1/2(x=1) \end{cases}

    • h(x)=−12log212−12log212=1h(x) = -\frac{1}{2}log_2\frac{1}{2}-\frac{1}{2}log_2\frac{1}{2}=1

  • ex2. 주사위 던지기
    • h(x)=6×16×log⁡26=2.585h(x) = 6 \times\frac{1}{6}\times\log_26 = 2.585
    • 만약 주사위 1000개를 던진다면 2585bit가 필요
  • morse code
    • 영단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e, t의 부호가 가장 짧다.
    • 엔트로피 정의를 보면 h(X)=−∑PilogPih(X) = -\sum P_ilog P_i에서 정보의 출현 확률과 엔트로피(정보량)은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 엔트로피가 작다
    = PMF가 편중되어 있는 상태(물리에서의 엔트로피와 비슷하게 해석)
728x90
728x90

 

1. Random Vector

  • 랜덤벡터 = 랜덤변수의 곱집합(Cartesian Product)
  • 2차원 벡터 (X, Y), 3차원 벡터 (X, Y, Z), ...

2. Joint Distribution

  • 결합 분포 CDF FX,Y(x,y)≡P(X≤x, Y≤y)F_{X, Y}(x,y)\equiv P(X\leq x,\ Y\leq y)
    • X, Y CDF의 교집합 : P(A∩B)P(A\cap B)
    • Discrete R.V.의 경우 2개 축을 갖는 테이블로 표현
      • Marginal Probability : 1개 축이 갖는 확률
      • ex. P(X=x1)=∑j=13P(X=x1, Y=yj)=∑j=13p1jP(X=x_1)=\sum_{j=1}^3P(X=x_1,\ Y=y_j)=\sum_{j=1}^3p_{1j}
    • (X, Y)의 확률계산은 랜덤변수 X, Y의 모든 정보(확률)을 알 때 가능

Joint CDF Property

  1. FX,Y(−∞, −∞)=FX,Y(−∞,y)=FX,Y(x,−∞)=0F_{X, Y}(-\infty,\ -\infty)=F_{X,Y}(-\infty,y)=F_{X,Y}(x,-\infty)=0
  2. FX,Y(∞,∞)=1F_{X,Y}(\infty,\infty)=1
  3. 0≤FX,Y(x,y)≤10\leq F_{X,Y}(x,y)\leq1
  4. FX,YF_{X,Y}는 x, y의 범위 내에서 감소하지 않음
  5. P(x1<X≤x2, y1<Y≤y2)P(x_1<X\leq x_2,\ y_1<Y\leq y_2)
    =FX,Y(x2,y2)+FX,Y(x1,y1)−FX,Y(x1,y2)−FX,Y(x2,y1)≥0=F_{X, Y}(x_2, y_2)+F_{X,Y}(x_1,y_1)-F_{X,Y}(x_1,y_2)-F_{ X,Y}(x_2,y_1)\geq0
  6. Marginality : FX,Y(x,∞)=FX(x), FX,Y(∞,y)=FY(y)F_{X,Y}(x,\infty)=F_X(x),\ F_{X,Y}(\infty,y)=F_Y(y)
    • 랜덤벡터 CDF FX,Y(x,y)F_{X, Y}(x,y)에서 CDF FX(x)F_X(x), FY(y)F_Y(y)를 얻을 수 있음
    • 하지만 FX(x)F_X(x), FY(y)F_Y(y)에서 FX,Y(x,y)F_{X, Y}(x,y) 계산은 불가
    • 예외 : X, Y가 확률적으로 독립된 상태일 때
      P(A,B)=P(A)P(B)P(A,B)=P(A)P(B), FX,Y(x,y)=FX(x)FY(y)F_{X,Y}(x,y)=F_X(x)F_Y(y)

3. Joint Density

  • 결합 밀도 fX,Y(x,y)≡∂2FX,Y(x,y)∂x∂yf_{X, Y}(x,y)\equiv\frac{\partial^2F_{X,Y}(x,y)}{\partial x\partial y}
    • Discrete R.V.에서는 델타함수의 식으로 표현
    • fX,Y=(x,y)=∑n=1N∑m=1MP(xn,ym)δ(x−xn)δ(y−yn)f_{X,Y}=(x,y)=\sum_{n=1}^N\sum_{m=1}^MP(x_n,y_m)\delta(x-x_n)\delta(y-y_n)
  • Properties
    1. ∫−∞∞∫−∞∞fX,Y(x,y)dydx=1\int^\infty_{-\infty}\int^\infty_{-\infty}f_{X,Y}(x,y)dydx=1
    2. FX,Y(x,y)=∫−∞x∫−∞yfX,Y(u,v)dvduF_{X,Y}(x,y)=\int^x_{-\infty}\int^y_{-\infty}f_{X,Y}(u,v)dvdu
    3. FX(x)=∫−∞x∫−∞yfX,Y(u,v)dvduF_X(x)=\int^x_{-\infty}\int^y_{-\infty}f_{X,Y}(u,v)dvdu
    4. P(x1<X≤x2,y1<Y≤y2)P(x_1<X\leq x_2,y_1<Y\leq y_2)
      =∫x1x2∫y1y2fX,Y(x,y)dydx=\int^{x2}_{x1}\int^{y2}_{y1}f_{X,Y}(x,y)dydx
    5. fX(x)=∫−∞∞fX,Y(x,y)dyf_X(x)=\int^\infty_{-\infty}f_{X,Y}(x,y)dy
    • fX,Y(x,y)f_{X,Y}(x,y)에서 PDF fX(x)f_X(x), fY(y)f_Y(y) 계산 가능
    • 독립사건을 제외하고 fX(x)f_X(x), fY(y)f_Y(y)에서 fX,Y(x,y)f_{X,Y}(x,y)를 계산할 수는 없음


4. Conditional Distribution

  • 조건부 확률 P(A∣B)≡P(A,B)P(B)P(A|B)\equiv\frac{P(A,B)}{P(B)}
  • Conditional CDF FX(x∣B)=P[(X≤x)∩B]P(B)F_X(x|B)=\frac{P[(X\leq x)\cap B]}{P(B)}
    • 연속적인 랜덤변수 X, Y에 대해 FX,Y(x∣Y=y)=P[(X≤x)∩[Y=y]]P(Y=y)F_{X,Y}(x|Y=y)=\frac{P[(X\leq x)\cap [Y=y]]}{P(Y=y)}
    • 연속적인 랜덤변수에서 P(Y=y)=0P(Y=y)=0 : 0/0형태로 나타나는 문제
    • CDF 계산이 안될 경우 PDF식을 구한 후 적분
  • Conditional PDF fX(x∣B)=dFX(x∣B)dxf_X(x|B)=\frac{dF_X(x|B)}{dx}

Bayes' Theorem

  • fY(y∣x)=fY(y)fX(x∣y)fX(x)f_Y(y|x)=\frac{f_Y(y)f_X(x|y)}{f_X(x)}
    • fX(x)f_X(x) : 관찰된 것
    • fY(y∣x)f_Y(y|x) : 사후 확률
    • fX(x∣y)f_X(x|y) : likelihood - 인과관계
    • fY(y)f_Y(y) : 사전 확률 - 실험 전 일반적인 확률
  • Marginalization : fX(x)=∫−∞∞fX(x∣y)fY(y)dy=∫−∞∞fX,Y(x,y)dyf_X(x)=\int^\infty_{-\infty}f_X(x|y)f_Y(y)dy=\int^\infty_{-\infty}f_{X,Y}(x,y)dy

5. Sum of Independent R.V.

  • 독립적인 두 R.V. X,Y에 대해 W=X+Y를 정의

  • FW(w)=F(W≤w)=F(X+Y≤w)F_W(w)=F(W\leq w)=F(X+Y\leq w)
    ∫−∞∞∫−∞W−YfX,Y(x,y)dxdy\int^\infty_{-\infty}\int^{W-Y}_{-\infty}f_{X,Y}(x,y)dxdy
    (X, Y가 indep.) ∫−∞∞fY(y)∫−∞W−YfX(x)dxdy\int^\infty_{-\infty}f_Y(y)\int^{W-Y}_{-\infty}f_X(x)dxdy

  • fW(w)=dFW(w)dwf_W(w)=\frac{dF_W(w)}{dw}
    =∫−∞∞fY(y)fX(w−y)dy=∫−∞∞fX(x)fY(w−x)dx=\int^\infty_{-\infty}f_Y(y)f_X(w-y)dy=\int^\infty_{-\infty}f_X(x)f_Y(w-x)dx
    =fX(w)∗fY(w)=f_X(w)*f_Y(w) : Convolution


7. Central Limit Theorem

  • 충분히 많은 시행횟수에 대해 확률분포는 Gaussian 형태를 띄게 됨
    • YN=X1+X2+...+XNY_N=X_1+X_2+...+X_N의 N이 무한으로 갈 때 fYNf_{Y_N}은 gaussian 형태
  • 평균이 μ\mu, 분산이 σ2\sigma^2인 n개의 iid(independent, identical) R.V.의 합을 SnS_n으로 정의할 때
    • 평균 0, 분산 1(unit-variance)인 랜덤변수 ZN=Sn−nμσnZ_N=\frac{S_n-n\mu}{\sigma\sqrt{n}}
    • n이 무한으로 갈 때 limnP[Znz]=12πzexp[x22]dxlim_{n\rarr\infty}P[Z_n\leq z]=\frac{1}{\sqrt{2\pi}}\int^z_{-\infty}exp[-\frac{x^2}{2}]dx
    • SnS_n의 평균 E[Sn]=E[X1]+E[X2]+...+E[Xn]=nμE[S_n]=E[X_1]+E[X_2]+...+E[X_n]=n\mu
    • SnS_n의 분산 E[(Znnμ)2]=nσ2E[(Z_n-n\mu)^2]=n\sigma^2
728x90
728x90
4. Carrier Generation & Recombination

4. Carrier Generation & Recombination

1. Recombination & Generation

  • 캐리어가 과도하거나 부족한 상태를 평형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

  • Generation : 0+E→e+h0+E\rarr e+h

    • thermal generation : np<ni2np<n_i^2으로 캐리어가 부족 + 열 에너지에 의해 발생
    • 빛 등 외부 에너지에 의해서도 발생
  • Recombination : 0+E←e+h0+E\larr e+h

    • np>ni2np>n_i^2으로 캐리어가 과도해지면 발생

  • Equilibrium
    • generation과 recombination이 같은 비율로 일어나 거시적으로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
    • np=ni2np=n_i^2
    • 전류밀도 JN=JP=0J_N=J_P=0인 상태
    • 페르미 준위가 단일 값을 갖는 상태
  • Steady State
    • 외부에서의 에너지 영향이 존재하나 시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
    • np≠ni2np\not=n_i^2
    • 전류밀도는 0이 아닐 수 있음
  • Transient State
    • Equilibrium / steady state 사이의 과도기
    • n, p, 페르미 준위는 시간에 따라 변화
    • 전류 밀도는 0일 수도, 아닐 수도 있음

2. Recombination - Generation Mechanism

  • Recombination\\
    • band-to-band recombination
      • conduction band의 전자가 valance band의 정공과 만남
      • 에너지는 빛의 형태로 방출
    • R-G center recombination
      • 불순물 등에 의해 forbidden band 내에 에너지 준위 형성
      • 이 준위에서 합쳐지거나, 이 준위를 타고 전자가 valance band로(or 정공이 conduction band로) 이동하여 합쳐지는 것으로 해석
      • 에너지는 열의 형태로 방출
    • Auger Recombination
      • band-to-band recombination으로 인한 에너지가 방출되지 않고, 같은 밴드 내 다른 캐리어로 가해짐
      • Thermalization : 에너지를 받은 캐리어는 운동 에너지를 받아 높은 준위로 올라간 후, 서서히 자신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원래 준위로 복귀

  • Generation\\
    • Band-to-Band generation
      • 외부 에너지에 의해 전자가 valance band에서 conduction band로 올라가며 그 자리에 정공 생성
    • R-G center generation
      • 불순물 등에 의한 forbidden band 내부 준위로 인해 valance band 내 전자가 더 쉽게 conduction band로 올라감
    • impact ionization (avalanche mechanism)
      • 외부 전계에 의해 conduction band 내의 자유전자가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됨
      • 이 운동 에너지가 valance band 내 전자에 가해지면서 새로운 electron-hole pair 생성

  • Auger Process
    • impact ionization by electron
      • 외부 전계에 의해 conduction band 내의 자유전자가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됨
      • 이 운동 에너지가 valance band 내의 다른 전자에 가해지면서 새로운 electron-hole pair 생성
      • Auger Recombination : conduction band의 전자가 recombination되며 생성된 에너지가 conduction band 내 다른 전자에 가해짐
        • Raug=C1(n2p−n0p0)R_{aug}=C_1(n^2p-n_0p_0)
    • impact ionization by hole
      • valance band 내의 정공이 갖고 있던 운동에너지가 밴드 내 다른 전자에 가해지면서 pair 생성
      • Auger Recombination : recombination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가 hole의 운동에너지로 변환
        • Raug=C2(n2p−n0p0)R_{aug}=C_2(n^2p-n_0p_0)

  • Energy and Momentum Consideration
    • 전자-정공의 생성-결합은 에너지, 운동량 보존법칙을 준수
    • E-k diagram에서 E는 에너지, k는 운동량을 확인
    • 생성-결합의 중요 입자
      • 광자(photon)
        • 큰 에너지(Eph=hvE_{ph}=hv), 작은 운동량 (p=h/λp=h/\lambda, λ≃1μm\lambda\simeq1\mu m)
        • 에너지 보존 법칙에 영향
      • 포논(phonon)
        • 작은 에너지 (수십mV), 큰 운동량 (p=h/λp=h/\lambda, λ≃1nm\lambda\simeq1nm)
        • 운동량 보존 법칙에 영향
      • 파동의 속도는 광자쪽이 훨씬 빠름 (≃c\simeq c)

  • Direct/Indirect semiconductor\\
    • Direct Semiconudctor

      • E-k diagram에서 Conduction Band의 최저점과 Valance Band의 최고점이 나타나는 k값이 동일한 경우
      • electron-hole의 운동량이 0
      • recombination에 의한 에너지 방출 ( = 에너지 보존 법칙 ), 방출 에너지의 운동량이 0 (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 Indirect Semiconductor

      • E-k diagram에서 Conduction Band의 최저점과 Valance Band의 최고점이 나타나는 k값이 다름
      • phonon에 의해 k의 운동량을 갖고 광자 혹은 외부 에너지에 의해 전자-정공이 결합

  • Generation Center\\
    • 반도체 내 도핑 혹은 결정 결함(defect) 에 의해 Conduction-Valance Band 내 에너지 준위를 형성

    • R-G Center Recombination의 속도는 추가된 준위와 conduction-valance band 간 거리 중 먼 쪽에 의해 영향

    • bandgap 사이를 이동하는 캐리어의 lifetime을 줄이기 위해 금속을 반도체에 도핑해줌

    • DRAM같은 경우 오히려 전하가 오래 머무는 것이 중요하므로 defect를 줄이는 쪽으로 공정 진행


3. R-G Statics

  • 캐리어 농도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생성-결합의 수학적 표현

  • Light Absorption
    • 위치에 따라 빛의 에너지는 지수적으로 감소
      • I(x)=I(0)exp[−αx]I(x)=I(0)exp[-\alpha x]
    • 빛의 파장(에너지)에 의해 빛의 흡수 계수 α\alpha가 결정
      • 짧은 파장 = 큰 에너지 = 큰 흡수계수

  • Indirect semiconductor의 경우 Generation-Recombination 과정이 valance band의 top에서 conduction band의 bottom으로 이동하는 과정이므로 에너지 뿐 아니라 phonon의 영향도 같이 받게 됨

  • 이때 가해지는 에너지가 일정 이상이 되면, 굳이 conduction band의 bottom 지점이 아닌 k값이 일치하는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해짐

  • 이로 인해 phonon의 영향이 적어지고, 이 지점에서 흡수계수가 갑자기 커지게 됨(ex. Ge, InGaAs ...)


  • Band to Bnad generation
    • Photon의 생성 개수 Nph(x)=Nph(0)exp[−αx]N_{ph}(x)=N_{ph}(0)exp[-\alpha x]

    • Photon의 생성 속도 dNph(x)dx=−α(λ)Nph(x)\frac{dN_{ph}(x)}{dx}=-\alpha(\lambda)N_{ph}(x)

    • 캐리어 generation 속도 = photon이 사라지는(에너지가 흡수되는) 속도

      • GL(x,λ)=−dNph(x)dt=−dNph(x)dxdxdt−vgphNph(x)=vgphα(λ)Nph(x)=GL(0,λ)exp[−α(λ)x]G_L(x, \lambda)=-\frac{dN_{ph}(x)}{dt}=-\frac{dN_{ph}(x)}{dx}\frac{dx}{dt}-v_{gph}N_{ph}(x)\\=v_{gph}\alpha(\lambda)N_{ph}(x)=G_L(0,\lambda)exp[-\alpha(\lambda)x]
      • alpha가 매우 작은 경우 : 생성 속도가 일정 (GL(x,λ)=GL(0,λG_L(x,\lambda)=G_L(0,\lambda)
      • alpha가 매우 큰 경우 : 특정 지점에서 순간적으로 pair 생성 GL(x)=GL(0)δ(x)G_L(x)=G_L(0)\delta(x)
    • Free-Carrier Absorbtion : 에너지가 conduction band의 전자나 valance band의 정공에 가해져서 캐리어 생성 없이 운동 에너지만 증가시키는 현상


  • Trap Assisted R-G
    • impurity에 의해 생성된 준위에 의한 생성-결합

  • 용어 정의
    • n0, p0n_0,\ p_0 : equilibrium 상태의 전자/정공 농도
    • n, pn,\ p : 임의 상태에서의 전자/정공 농도
    • Δn≡n−n0\Delta n\equiv n-n_0 : equilibrium 상태에서의 전자 농도 변화
    • Δp≡p−p0\Delta p\equiv p-p_0 : equilibrium 상태에서의 정공 농도 변화
    • NTN_T : R-G Trap (impurity에 의해 생성된 준위)의 상태밀도

  • Low-level injection
    • Perturbation : majority carrier는 거의 변하지 않고, minority carrier만 변화한다.
      • n-type에서 Δp<<n0, n≃n0\Delta p<<n_0,\ n\simeq n_0
      • p-type에서 Δn<<p0, p≃p0\Delta n<<p_0,\ p\simeq p_0

  • 외부 에너지가 가해주는 순간 캐리어 농도에 변화가 발생 (Δp0\Delta p_0)

  •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재결합에 의해 Δp\Delta p는 감소

  • 충분한 시간이 흐르고 나면 평형 상태로 복귀 (Δp=0\Delta p=0)

  • ex) ni=1010cm−3n_i=10^{10}cm^{-3}, ND=1014cm−3N_D=10^{14}cm^{-3}\\ perturbation에 의해 Δp=Δn=109cm−3\Delta p=\Delta n=10^9cm^{-3}

    • n=n0+Δn=1014+109≃1014≃n0n=n_0+\Delta n=10^{14}+10^9\simeq10^{14}\simeq n_0
    • p=p0+Δp=106+109≃109≃Δpp=p_0+\Delta p=10^6+10^9\simeq10^9\simeq\Delta p
  • 시간에 따른 정공의 결합/생성 변화(n-type, indirect)

    • ∂p∂t∣R=−cpNTp\frac{\partial p}{\partial t}|_R=-c_pN_Tp
      • NTN_T : Trap의 상태밀도
      • pp : 정공의 농도
      • cpc_p : 비례상수
    • ∂p∂t∣G=−∂p∂t∣R, equilibrium=cpNTp0\frac{\partial p}{\partial t}|_G=-\frac{\partial p}{\partial t}|_{R,\ equilibrium}=c_pN_Tp_0
    • thermal R-G에 의해 정공의 시간에 따른 변화 ∂p∂t∣i−thermal−R−G=∂p∂t∣R−∂p∂t∣G=−cpNT(p−p0)=−cpNTΔp\\\frac{\partial p}{\partial t}|_{i-thermal-R-G}=\frac{\partial p}{\partial t}|_R-\frac{\partial p}{\partial t}|_G=-c_pN_T(p-p_0)\\=-c_pN_T\Delta p
    • p-type 반도체에서 thermal R-G에 의한 전자의 시간에 따른 변화∂n∂t∣i−thermal−R−G=−cnNTΔn\\\frac{\partial n}{\partial t}|_{i-thermal-R-G}=-c_nN_T\Delta n

  • electron/hole lifetime
    • thermal R-G에서 전자, 정공의 변화 속도
      • ∂p∂t∣i−thermal−R−G=−cpNTΔp=−Δpτp\frac{\partial p}{\partial t}|_{i-thermal-R-G}=-c_pN_T\Delta p=-\frac{\Delta p}{\tau_p}
      • ∂n∂t∣i−thermal−R−G=−cnNTΔn=−Δnτn\frac{\partial n}{\partial t}|_{i-thermal-R-G}=-c_nN_T\Delta n=-\frac{\Delta n}{\tau_n}
      • τp=−(cpNT)−1\tau_p=-(c_pN_T)^{-1} : hole의 lifetime
    • perturbation이 없는 일반적인 경우
      • ∂p∂t∣i−thermal−R−G=∂n∂t∣i−thermal−R−G=ni2−npτp(n+n1)+τn(p+p1)\frac{\partial p}{\partial t}|_{i-thermal-R-G}=\frac{\partial n}{\partial t}|_{i-thermal-R-G}=\frac{n_i^2-np}{\tau_p(n+n_1)+\tau_n(p+p_1)}
      • n1≡niexp[(ET−Ei)/kT]n_1\equiv n_iexp[(E_T-E_i)/kT]
      • p1≡niexp[(Ei−ET)/kT]p_1\equiv n_iexp[(E_i-E_T)/kT]

  • Direct semiconductor의 경우
    • R=A(n−n0)+B(np−ni2)+C1(n2p−n02p0)+C2(np2−n0p02)R=A(n-n_0)+B(np-n_i^2)+C_1(n^2p-n_0^2p_0)+C_2(np^2-n_0p_0^2)
      • AA : R-G center Recombination
      • BB : Band-to-Band Recombination
      • C1, C2C_1,\ C_2 : Auger Recombination
      • 캐리어 농도에 따라 lifetime 변화
      • ex. silicon
        • τn=(3.45×10−12NA+9.5×10−32NA2)−1\tau_n=(3.45\times10^{-12}N_A+9.5\times10^{-32}N_A^2)^{-1}
        • τp=(7.8×10−13ND+1.8×10−31ND2)−1\tau_p=(7.8\times10^{-13}N_D+1.8\times10^{-31}N_D^2)^{-1}

4. Minority Carrier Lifetime & Measurement

  • 외부 에너지에 의해 추가된 carrier는 지수적으로 감소
  • Δn(t)=Δn(0)exp[−t/τn]\Delta n(t)=\Delta n(0)exp[-t/\tau_n]
  • ln[Δn(t)]=ln[Δn(0)]−t/τnln[\Delta n(t)]=ln[\Delta n(0)]-t/\tau_n
728x90
728x90
3. Diffusion

3. Diffusion

1. Diffusion

  • 입자 농도(화학적 포텐셜)의 기울기(Gradient)\\ + 열에너지, Scattering에 의한 Random Motion에 의해 발생
    • Random Motion : 고농도 / 저농도측 모두 입자가 랜덤한 양으로 이동\\경계를 통과하는 입자수는 고농도측 입자가 더 많음\\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두 영역이 평형 상태가 됨
  •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입자가 이동(재분배)
  • 평형 상태가 될 때까지 이동
    • 반도체의 경우 Charged Particle에 의해 Diffusion이 끝나도 같은 농도가 아닐 수 있음

2. Diffusion Current

  • Diffusion에 의한 입자 흐름
    • F=Dη\mathcal{F}=-D\nabla\eta
    • diffusion flux = -(diffusion Coefficient)×Grad(Concentration)
    • η\nabla\eta가 ( - ) : diffusion은 농도가 감소하는 쪽으로 발생
  • 전자 diffusion current density : JNdiff=qDNnJ_{Ndiff}=qD_N\nabla n
    • 전자 diffusion은 농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
    • 전자와 전류의 방향은 반대이므로 JNdiffJ_{Ndiff}는 ( + )
  • 정공 diffusion current density : JPdiff=qDPpJ_{Pdiff}=-qD_P\nabla p
    • hole diffusion은 농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
    • hole diffusion과 current 같은 방향이므로 JPdiffJ_{Pdiff}는 ( - )

  • Total Current = Drift + Diffusion
    • hole : JP=JPdrift+JPdiff=qpμpEqDPpJ_P=J_{Pdrift}+J_{Pdiff}=qp\mu_pE-qD_P\nabla p
    • electron : JN=JNdrift+JNdiff=qnμnE+qDNnJ_N=J_{Ndrift}+J_{Ndiff}=qn\mu_nE+qD_N\nabla n
    • J=JP+JNJ=J_P+J_N
  • Drift Current는 전기적 포텐셜에 영향을 많이 받아 Majority Carrier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Diffusion Current는 농도차의 영향을 받으므로 Major 뿐 아니라 Minority Carrier의 영향 역시 유의미하게 존재한다.

  • Built-in Electric Field
    • 캐리어 농도가 불균일한 상태로 평형 상태가 되도록 하는 힘
    • JN=JP=0J_N=J_P=0일 때 equilitbrium
    • equilibrium일 때 전류밀도의 식을 이용하면
      • electric field E=Dppμpp=DnnμnnE=\frac{D_p\nabla p}{\mu_pp}=-\frac{D_n\nabla n}{\mu_nn}
      • equilibrium 상태여도 농도차의 항 n, p\nabla n,\ \nabla p는 존재
      • uniform doping 인 경우 n=p=0\nabla n=\nabla p=0, electric field=0
      • 불균일한 doping인 경우 n, p0\nabla n,\ \nabla p\not =0\\평형 상태에서 J=0J=0이 되기 위해 built-in electric field가 존재하게 됨.

  • Hot Point Probe Measurement
  • 온도가 높은 probe와 낮은 probe 사이에 전류계를 연결
  • hot probe 쪽의 입자가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 점을 이용한 전류 측정
  • p-type 입자가 더 많은 경우 전류가 ( - ), n-type입자가 더 많은 경우 ( + )

3. Energy Band Diagram

  • 가로축 : x 방향
  • 원점의 valance band를 ErefE_{ref}로 가정
  • reference energy를 기준으로
    • electron potential energy : EC(x)ErefE_C(x)-E_{ref}
    • hole potential energy : ErefEV(x)E_{ref}-E_V(x)
    • conduction band 초과치 : electron kinetic energy
    • valance band 초과치 : hole kinetic energy
    • total energy = kinetic + potential
  • Electic potential V(x)=1q[EC(x)Eref]V_(x)=-\frac{1}{q}[E_C(x)-E_{ref}]
    • ECE_C 대신 Ei, EVE_i,\ E_V값이 들어갈 수 있음
    • heavy doping이 아닌 이상 EC, Ei, EVE_C,\ E_i,\ E_V는 parallel
    • 이전 그림에서 Ec(x)E_c(x)는 x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전위는 증가
  • Electric Field E(x)=V(x)=1qEC(x)E(x)=-\nabla V(x)=\frac{1}{q}\nabla E_C(x)
    • 전위가 중간에 증가하고 양 끝단에서는 일정 값을 유지하므로 중간 지점에서 강하게 나타남
  • Charge Density ρ(x)=D(x)=[ϵE(x)]=ϵ2V(x)\rho(x)=\nabla\cdot D(x)=\nabla\cdot[\epsilon E(x)]=-\epsilon\nabla^2V(x)

  • Equilibrium
    • 모든 순/역방향 캐리어 이동이 동등한 상태
    • 물리적 관측량은 변화가 없음
    • 일정한 fermi level : EF,dEF(x)/dx=0\nabla E_F,dE_F(x)/dx=0
    • Net current가 0 : JP+JN=0J_P+J_N=0
    • Net carrier generation/recombination이 0 :\\ nondegenerate 반도체에서 np=ni2np=n_i^2
    • 불균일 도핑의 경우 diffusion에 의한 전류를 drift 전류가 상쇄한다(built-in electric field)

4. Band Bending

  • 불균일한 도핑이나 applied electric field는 nonzero electric field, chage imbalance를 유발
  • nonzero electric field : potential 에너지의 기울기 존재, band banding 발생
    • electron/hole drift 전류가 존재
    • drift 전류 상쇄를 위한 diffusion current 존재
    • the law of detailed balance : equilibrium 상태에서\\ 총 electron/hole 전류는 0, 페르미 준위는 constant (np=ni2np=n_i^2)
  • equilibrium = 페르미 준위가 상수이고, 하나의 값을 갖는 상태
    • 상수 페르미 준위 = 전자/정공 전류는 0
    • 단일 페르미 준위 = 캐리어 생성/결합 비율이 동일

  • non-uniformly doped semiconductor
  • 이온화된 donor는 (+), 전자(n)은 (-) charge
    • 가운데는 donor가 더 많아 전하밀도가 (+), 양 끝은 전자가 많아 (-)
    • 전하밀도 ρ\rho는 전계의 기울기이므로 기함수 형태의 전계 그래프가 형성
  • EFE_F는 상수이고, 양 끝단에서는 EFEiE_F-E_i가 작고 중앙에서는 커지는 모양을 형성하여야 함
  • np=ni2np=n_i^2의 식을 만족하기 위해 Ec,EiE_c, E_i도 같은 모양을 형성

5. Einstein Relationship

  • Constancy of Fermi level in Equilibrium
    • 임의 지점 1, 2에서의 fermi level을 EF1, EF2E_{F1},\ E_{F2}로 가정
    • 이 지점에서의 온도를 T1,T2T_1, T_2로 가정
    • 입자의 이동 비율 r12=R0f(E1)[1f(E2)]r_{12}=R_0f(E_1)[1-f(E_2)], r21=R0f(E2)[1f(E1)]r_{21}=R_0f(E_2)[1-f(E_1)]
      • equilibrium일 때 r12=r21, f(E1)=f(E2)r_{12}=r_{21},\ f(E_1)=f(E_2)
    • 모든 E에 대해 EF1=EF2, T1=T2E_{F1}=E_{F2},\ T_1=T_2
    • 즉, EF=0\nabla E_F=0
  • Detailed Balance
    • equilibrium 상태에서 JN=JP=0, J=JN+JP=0J_N=J_P=0,\ J=J_N+J_P=0

  • Einsetin Relationship
  • diffusion current는 donor 농도가 높아지는 쪽으로 이동
  • drift current는 Energy Band level이 높아지는 쪽으로 이동
  • equilibrium 상태에서 JNdrift+JNdiff=qnμnE+qDNdndx=0J_{Ndrift}+J_{Ndiff}=qn\mu_nE+qD_N\frac{dn}{dx}=0
    • E=1qEi(x)E=\frac{1}{q}\nabla E_i(x) (electric field = intrinsic band level의 미분값)
    • n=niexp[(EFEi)/kT]n=n_iexp[(E_F-E_i)/kT]
    • dn/dx=nkT[dEFdxdEidx]dn/dx=-\frac{n}{kT}[\frac{dE_F}{dx}-\frac{dE_ i}{dx}]
    • dEF/dx=0dE_F/dx=0이므로 dn/dx=qkTnEdn/dx=-\frac{q}{kT}nE
    • JN=qnE(μnqDNkT)\therefore J_N=qnE(\mu_n-\frac{qD_N}{kT})
  • 전자의 einstein relationship : DNmun=kTq\frac{D_N}{mu_n}=\frac{kT}{q}
  • 정공의 einstein relationship : DPμp=kTq\frac{D_P}{\mu_p}=\frac{kT}{q}
  • einsteint relationship : 물질 간의 관계 - equilibrium 여부와는 무관
  • diffusion coefficient(by diffusion)와 mobility(by drift) 둘 다 scattering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례관계를 갖게 된다.
728x90
728x90
728x90
728x90
Bistable Elements
  • Sequential Logic : 현재 출력이 과거 출력에 영향을 받음
  • Ocombinational=f(input)O_{combinational} = f(input)
  • Osequential=f(input,Opresent)O_{sequential} = f(input, O_{present})

Bistable Elements

  • clock signal
    • 전압이 공급되면 디지털 회로는 클락에 따라 움직임
    • high-low 시간을 합쳐 주기 period라고 함.
    • 주파수 = 1 / 주기
    • duty cycle = high / period (invert clock의 경우 low/period)

  • Latch : 입력이 바뀌면 출력도 바뀜
  • Flip-Flop : 클록이 바뀔 때 출력이 바뀜

Flip Flop

  • 이하 모든 Flipflop 해석은 Clock Rising edge일 때 신호를 읽는 것으로 가정

  • D flip-flop
    • (a) D flip-flop 내부 구조 : 2개 latch를 조합하여 사용
    • (b) truth table : D 신호에 따라 다음 신호를 결정, 그 외에는 현재 상태를 유지
    • (c) D flip-flop 회로 기호

  • tpLH/tpHLt_{pLH} / t_{pHL}

    • 신호가 low > high / high > low로 바뀌는 시간
  • thold/tsetupt_{hold} / t_{setup}

    • 클록이 바뀌기 후/전에 신호가 유지되어야 하는 시간
    • 이 시간 범위 내에 신호가 바뀌면 출력 신호가 불안정하게 된다.
  • setup/hold time을 이용하여 D flip-flop의 최소 클록을 구할 수 있다.

  • D flip flop with PR and CLR

    • Clock과 무관하게 PR(preset) 입력 시 on
    • CLR(clear) 입력 시 off
  • D flip flop with enable : enable이 입력될 때만 flip flop이 동작, 이외에는 이전 신호를 그대로 유지


  • S-R Flip Flop
    • S(set)=1 : Q = 1
    • R(Reset)=1 : Q=0
    • S, R이 모두 0 : 이전 신호 유지
    • S, R이 모두 1 : not allowed(신호 불안정)
    • scan flip-flop
      • 데이터 입력 외에 test용 enable, input이 별도로 존재
      • test enable이 high가 되면 data 대신 test input의 데이터가 입력으로 들어간다.

  • J-K flip flop
    • S-R flip flop에서의 단점을 보완
    • J가 Set, K가 reset 역할
    • J,K가 모두 high가 되면 출력을 반전

  • T(toggle) flip-flop
    • T에 on 입력 시 출력이 반전
    • T off일때는 출력 유지
    • J-K flip flop의 J, K단자를 연결한 것과 같은 동작

Clocked Synchronous State-Machine Analysis and Design

  • state machine = sequential circuit(순차회로)
  • clocked : flip-flop에서 클록 입력
  • synchronous : 클록이 변화할 때 상태가 변화 / 모든 flip-flop은 같은 clock signal에 따라 변화

  • Mealy machine
    • F(combinational logic)로 n개의 flip-flop으로 구성된 상태 메모리의 입력을 정의
    • F(next-state-logic)과 G(output logic)는 현재 상태와 입력의 조합으로 구성

  • Moore machine
    • Mealy와 다르게 출력은 현재 상태만으로 구성
    • next-state는 현재 상태와 입력의 조합으로 구성

  • Characteristic Eq.

    • 입력과 현재 상태 Q(t)로 직후의 상태 Q(t+ϵ)Q(t+\epsilon)를 표현하는 논리식
    • ex. S-R FF
    • 위 식을 단순화하면 Q*=S + R`Q의 식으로 나타난다.
  • Transition Eq.

    • Excitation Eq. : 입력 단자의 논리식
    • Characteristic Eq. : state memory의 다음 상태를 정의
    • Transition Eq. : excitation eq.를 이용하여 다음 상태를 정의
    • output Eq. : 시스템의 출력

  • state machine
    • 상태표를 그림의 형태로 표현
    • mealy machine
      • 다음 상태와 출력이 현재 상태와 입력의 조합으로 구성
      • circle에는 현재 상태, 화살표는 입력의 변화를 표시
      • 입력이 변화할 때 출력과 상태가 모두 변하므로, 화살표에 입/출력을 모두 표기한다.
    • moore machine
      • 출력은 현재 상태로, 다음 상태는 입력과 현재 상태의 조합으로 구성
      • circle 안에 출력이 표시되며, 화살표에는 입력의 변화만 나타난다.

Clocked synchronous state-machine design

  • Design example
    • 입력 A, B, 출력 Z를 갖는클록 동기화 machine를 설계
    • 다음의 경우 Z=1:
      • A가 2개 tick동안 같은 값을 유지하는 경우
      • 위 조건을 만족한 이후 B가 1을 유지하는 경우
    • 그 외 Z=0
    • 위 조건을 기준으로 하는 state table 작성
      • INIT : 초기 상태
      • A0(A1) : 이전에 0(1)이 입력된 경우
      • OK0(OK1) : 이전에 0(1)이 두번 입력된 경우
    • State Assignment
      • 1-bit = 1-flip flop
      • 상태의 개수 = m이라고 할 때 최소 flip flop # = log2m\lceil log_2m\rceil
      • 주어지는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됨
        • D-flipflop을 쓸 것인지/J-K flipflop을 쓸 것인지
        • SOP/POS 표현 중 어떻게 나타낼 것인지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