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 Diffusion

3. Diffusion

1. Diffusion

  • 입자 농도(화학적 포텐셜)의 기울기(Gradient)\\ + 열에너지, Scattering에 의한 Random Motion에 의해 발생
    • Random Motion : 고농도 / 저농도측 모두 입자가 랜덤한 양으로 이동\\경계를 통과하는 입자수는 고농도측 입자가 더 많음\\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두 영역이 평형 상태가 됨
  •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입자가 이동(재분배)
  • 평형 상태가 될 때까지 이동
    • 반도체의 경우 Charged Particle에 의해 Diffusion이 끝나도 같은 농도가 아닐 수 있음

2. Diffusion Current

  • Diffusion에 의한 입자 흐름
    • F=Dη\mathcal{F}=-D\nabla\eta
    • diffusion flux = -(diffusion Coefficient)×Grad(Concentration)
    • η\nabla\eta가 ( - ) : diffusion은 농도가 감소하는 쪽으로 발생
  • 전자 diffusion current density : JNdiff=qDNnJ_{Ndiff}=qD_N\nabla n
    • 전자 diffusion은 농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
    • 전자와 전류의 방향은 반대이므로 JNdiffJ_{Ndiff}는 ( + )
  • 정공 diffusion current density : JPdiff=qDPpJ_{Pdiff}=-qD_P\nabla p
    • hole diffusion은 농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
    • hole diffusion과 current 같은 방향이므로 JPdiffJ_{Pdiff}는 ( - )

  • Total Current = Drift + Diffusion
    • hole : JP=JPdrift+JPdiff=qpμpEqDPpJ_P=J_{Pdrift}+J_{Pdiff}=qp\mu_pE-qD_P\nabla p
    • electron : JN=JNdrift+JNdiff=qnμnE+qDNnJ_N=J_{Ndrift}+J_{Ndiff}=qn\mu_nE+qD_N\nabla n
    • J=JP+JNJ=J_P+J_N
  • Drift Current는 전기적 포텐셜에 영향을 많이 받아 Majority Carrier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Diffusion Current는 농도차의 영향을 받으므로 Major 뿐 아니라 Minority Carrier의 영향 역시 유의미하게 존재한다.

  • Built-in Electric Field
    • 캐리어 농도가 불균일한 상태로 평형 상태가 되도록 하는 힘
    • JN=JP=0J_N=J_P=0일 때 equilitbrium
    • equilibrium일 때 전류밀도의 식을 이용하면
      • electric field E=Dppμpp=DnnμnnE=\frac{D_p\nabla p}{\mu_pp}=-\frac{D_n\nabla n}{\mu_nn}
      • equilibrium 상태여도 농도차의 항 n, p\nabla n,\ \nabla p는 존재
      • uniform doping 인 경우 n=p=0\nabla n=\nabla p=0, electric field=0
      • 불균일한 doping인 경우 n, p0\nabla n,\ \nabla p\not =0\\평형 상태에서 J=0J=0이 되기 위해 built-in electric field가 존재하게 됨.

  • Hot Point Probe Measurement
  • 온도가 높은 probe와 낮은 probe 사이에 전류계를 연결
  • hot probe 쪽의 입자가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 점을 이용한 전류 측정
  • p-type 입자가 더 많은 경우 전류가 ( - ), n-type입자가 더 많은 경우 ( + )

3. Energy Band Diagram

  • 가로축 : x 방향
  • 원점의 valance band를 ErefE_{ref}로 가정
  • reference energy를 기준으로
    • electron potential energy : EC(x)ErefE_C(x)-E_{ref}
    • hole potential energy : ErefEV(x)E_{ref}-E_V(x)
    • conduction band 초과치 : electron kinetic energy
    • valance band 초과치 : hole kinetic energy
    • total energy = kinetic + potential
  • Electic potential V(x)=1q[EC(x)Eref]V_(x)=-\frac{1}{q}[E_C(x)-E_{ref}]
    • ECE_C 대신 Ei, EVE_i,\ E_V값이 들어갈 수 있음
    • heavy doping이 아닌 이상 EC, Ei, EVE_C,\ E_i,\ E_V는 parallel
    • 이전 그림에서 Ec(x)E_c(x)는 x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전위는 증가
  • Electric Field E(x)=V(x)=1qEC(x)E(x)=-\nabla V(x)=\frac{1}{q}\nabla E_C(x)
    • 전위가 중간에 증가하고 양 끝단에서는 일정 값을 유지하므로 중간 지점에서 강하게 나타남
  • Charge Density ρ(x)=D(x)=[ϵE(x)]=ϵ2V(x)\rho(x)=\nabla\cdot D(x)=\nabla\cdot[\epsilon E(x)]=-\epsilon\nabla^2V(x)

  • Equilibrium
    • 모든 순/역방향 캐리어 이동이 동등한 상태
    • 물리적 관측량은 변화가 없음
    • 일정한 fermi level : EF,dEF(x)/dx=0\nabla E_F,dE_F(x)/dx=0
    • Net current가 0 : JP+JN=0J_P+J_N=0
    • Net carrier generation/recombination이 0 :\\ nondegenerate 반도체에서 np=ni2np=n_i^2
    • 불균일 도핑의 경우 diffusion에 의한 전류를 drift 전류가 상쇄한다(built-in electric field)

4. Band Bending

  • 불균일한 도핑이나 applied electric field는 nonzero electric field, chage imbalance를 유발
  • nonzero electric field : potential 에너지의 기울기 존재, band banding 발생
    • electron/hole drift 전류가 존재
    • drift 전류 상쇄를 위한 diffusion current 존재
    • the law of detailed balance : equilibrium 상태에서\\ 총 electron/hole 전류는 0, 페르미 준위는 constant (np=ni2np=n_i^2)
  • equilibrium = 페르미 준위가 상수이고, 하나의 값을 갖는 상태
    • 상수 페르미 준위 = 전자/정공 전류는 0
    • 단일 페르미 준위 = 캐리어 생성/결합 비율이 동일

  • non-uniformly doped semiconductor
  • 이온화된 donor는 (+), 전자(n)은 (-) charge
    • 가운데는 donor가 더 많아 전하밀도가 (+), 양 끝은 전자가 많아 (-)
    • 전하밀도 ρ\rho는 전계의 기울기이므로 기함수 형태의 전계 그래프가 형성
  • EFE_F는 상수이고, 양 끝단에서는 EFEiE_F-E_i가 작고 중앙에서는 커지는 모양을 형성하여야 함
  • np=ni2np=n_i^2의 식을 만족하기 위해 Ec,EiE_c, E_i도 같은 모양을 형성

5. Einstein Relationship

  • Constancy of Fermi level in Equilibrium
    • 임의 지점 1, 2에서의 fermi level을 EF1, EF2E_{F1},\ E_{F2}로 가정
    • 이 지점에서의 온도를 T1,T2T_1, T_2로 가정
    • 입자의 이동 비율 r12=R0f(E1)[1f(E2)]r_{12}=R_0f(E_1)[1-f(E_2)], r21=R0f(E2)[1f(E1)]r_{21}=R_0f(E_2)[1-f(E_1)]
      • equilibrium일 때 r12=r21, f(E1)=f(E2)r_{12}=r_{21},\ f(E_1)=f(E_2)
    • 모든 E에 대해 EF1=EF2, T1=T2E_{F1}=E_{F2},\ T_1=T_2
    • 즉, EF=0\nabla E_F=0
  • Detailed Balance
    • equilibrium 상태에서 JN=JP=0, J=JN+JP=0J_N=J_P=0,\ J=J_N+J_P=0

  • Einsetin Relationship
  • diffusion current는 donor 농도가 높아지는 쪽으로 이동
  • drift current는 Energy Band level이 높아지는 쪽으로 이동
  • equilibrium 상태에서 JNdrift+JNdiff=qnμnE+qDNdndx=0J_{Ndrift}+J_{Ndiff}=qn\mu_nE+qD_N\frac{dn}{dx}=0
    • E=1qEi(x)E=\frac{1}{q}\nabla E_i(x) (electric field = intrinsic band level의 미분값)
    • n=niexp[(EFEi)/kT]n=n_iexp[(E_F-E_i)/kT]
    • dn/dx=nkT[dEFdxdEidx]dn/dx=-\frac{n}{kT}[\frac{dE_F}{dx}-\frac{dE_ i}{dx}]
    • dEF/dx=0dE_F/dx=0이므로 dn/dx=qkTnEdn/dx=-\frac{q}{kT}nE
    • JN=qnE(μnqDNkT)\therefore J_N=qnE(\mu_n-\frac{qD_N}{kT})
  • 전자의 einstein relationship : DNmun=kTq\frac{D_N}{mu_n}=\frac{kT}{q}
  • 정공의 einstein relationship : DPμp=kTq\frac{D_P}{\mu_p}=\frac{kT}{q}
  • einsteint relationship : 물질 간의 관계 - equilibrium 여부와는 무관
  • diffusion coefficient(by diffusion)와 mobility(by drift) 둘 다 scattering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례관계를 갖게 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