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6. Hall Effect, Quasi Fermi Level

6. Hall Effect, Quasi Fermi Level

Hall Effect

  • 물질에 자기장과 그에 수직한 전압을 가해 주면 majority carrier와 캐리어 농도, mobility를 분석 가능
  • 자계 내에서 움직이는 전하는 F=qv×BF=qv\times B의 로렌츠 힘을 받음
  • 자계와 전압에 모두 수직한 방향으로 전위차 VHV_H 형성
    • n-type에서는 (-), p-type에서는 (+)전압 형성
    • 정공이 만약 VB 전자의 빈 자리라고 할 경우 p-type 반도체의 VHV_H 역시 전자에 의해 (-)전압이 형성된다.
    • 하지만 실제로는 (+)전압이 형성되므로 정공 역시 빈 자리가 아닌 실제 입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Hall 전압이 가해지면 전위차에 의한 induced electric field가 형성
  • 로렌츠 힘은 (-) > (+), 전계는 (+) > (-) 방향으로 형성
  • steady state에서 F=q[E+v×B]=0F=q[E+v\times B]=0
    • 홀 전압 VH=EHW=EYW=vXBZWV_H=E_HW=E_YW=v_XB_ZW

    • p-type : vX=JX/qp=IX/qpWdv_X=J_X/qp=I_X/qpWd

      • VH=IXBZ/qpdV_H=I_XB_Z/qpd
      • p=IXBZ/qdVHp=I_XB_Z/qdV_H
    • n-type : vX=JX/qn=IX/qnWdv_X=-J_X/qn=-I_X/qnWd

      • VH=IXBZ/qndV_H=-I_XB_Z/qnd
      • n=IXBZ/qdVHn=I_XB_Z/qd|V_H|
    • mobility μ=IXL/qpVXWd=IXL/qnVXWd\mu=I_XL/qpV_XWd=I_XL/qnV_XWd

  • Hall Coefficient RHR_H
    • RHn=1/qnR_{Hn}=-1/qn
    • RHp=1/qpR_{Hp}=1/qp

Quasi-Fermi Level

  • non-equilibrium 상태에서는 mass action law가 만족하지 않음 ( npni2np\not ={n_i^2} )
  • 그러므로 전자, 정공에 대한 quasi-fermi level을 각각 정의
    • n=n0+Δn=niexp[(FNEi)/kT]n=n_0+\Delta n=n_iexp[(F_N-E_i)/kT]
      • FN=Ei+kTln(n/ni)F_N=E_i+kTln(n/n_i)
    • p=p0+Δp=niexp[(EiFP)/kT]p=p_0+\Delta p=n_iexp[(E_i-F_P)/kT]
      • FP=EikTln(p/ni)F_P=E_i-kTln(p/n_i)
    • np=ni2exp[(FNFP)/kT]np=n_i^2exp[(F_N-F_P)/kT]
  • FN>FPF_N>F_P : Carrier excess ( np>ni2np>n_i^2 )
  • FN<FPF_N<F_P : Carrier deficit ( np<ni2np<n_i^2 )
  • FN=FP=EFF_N=F_P=E_F : equilibrium ( np=ni2np=n_i^2 )

  • Low level injection 하에서 페르미 레벨 대비 minority carrier의 quasi fermi level은 majority carrier보다 큰 차이를 보임
    • ex. n0=1015n_0=10^{15} , p0=105p_0=10^5 , ni=1010n_i=10^{10} , Δn=Δp=1011\Delta n=\Delta p=10^{11}
    • FN=Ei+kTln(n/ni)Ei+kTln(n0/ni)=Ei+kTln(105)F_N=E_i+kTln(n/n_i)\simeq E_i+kTln(n_0/n_i)=E_i+kTln(10^5)
    • FP=EikTln(p/ni)EikTln(Δp/ni)=EikTln(10)F_P=E_i-kTln(p/n_i)\simeq E_i-kTln(\Delta p/n_i)=E_i-kTln(10)
    • EF=Ei+kTln(n0/ni)=EikTln(p0/ni)=Ei+kTln(105)E_F=E_i+kTln(n_0/n_i)=E_i-kTln(p_0/n_i)=E_i+kTln(10^5)

  • 전류밀도 = diffusion + drift
    • JP=qpμpEqDppJ_P=qp\mu_pE-qD_p\nabla p

    • p=nikTe(EiEF)/kT(EiFP)=qpkTEpFPkT\nabla p=\frac{n_i}{kT}e^{(E_i-E_F)/kT}(\nabla E_i-\nabla F_P)=\frac{qp}{kT}E-\frac{p\nabla F_P}{kT}

      • Ei=qE\nabla E_i=qE
      • EiE_i, FPF_P는 상수가 아니므로 각각 미분
    • JP=qpE(μpqDPkT)+qpDpkTFP=μppFPJ_P=qpE(\mu_p-\frac{qD_P}{kT})+\frac{qpD_p}{kT}\nabla F_P=\mu_pp\nabla F_P

      • μp=qDpkT\mu_p=\frac{qD_p}{kT} (einstein relationship)
  • {JP=μppFp=μpp(FPEi)+μppEiJN=μnnFn=μnn(FNEi)+μnnEi\begin{cases} J_P=\mu_pp\nabla F_p=\mu_pp\nabla(F_P-E_i)+\mu_pp\nabla E_i\\ J_N=\mu_nn\nabla F_n=\mu_nn\nabla(F_N-E_i)+\mu_nn\nabla E_i \end{cases}
    • μpp(FPEi)\mu_pp\nabla(F_P-E_i) : Drift Current
    • μppEi\mu_pp\nabla E_i : Diffusion Current

Pulse Doping

  • 특정 위치에 대해서만 Donor 도핑 시
    • 도핑 중심 영역은 균일한 농도를 갖게 되므로 변화가 없음, 도핑 농도가 변화하는 지점에 대해서 drift + diffusion
      • 도핑된 위치를 중심으로 바깥으로 diffusion
      • 이온화된 Donor과 확산된 전자에 의한 전계 형성, 도핑 농도가 높은 쪽으로 전자 drift
    • 도핑 농도차가 생기는 지점을 경계로 안쪽은 +, 바깥쪽은 - 전하가 쌓여 equilibrium 상태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