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pn Junction Fabrication

 

1. pn Junction Fabrication

1. Fabrication Processes: Basics

  • pn diode 구조
  • n+n^+ 웨이퍼에 도핑 농도가 낮은 n-type region을 epitaxy로 형성
  • n-type region에 p+p^+ diffusion 형성
  • ohmic metal : 금속과 region 사이의 I-V 특성이 저항과 같이 동작(저항값 매우 낮음)
    • anode/cathode를 통한 다이오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contact 형성
  • 실제로는 diffusion 영역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지만, 평면 접점 대비 영향이 적어 평평하게 접해 있는 것으로 간주

  • Initial Cleaning
    • 웨이퍼 생성 직후 웨이퍼를 세척
    • DRAM 1주기(pitch)의 절반을 넘는 크기의 입자 하나만 존재해도 칩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ppb(10억분의 1) / ppt(1조분의 1) 단위의 오염에도 불안요소 존재
    • 통상 화학적으로/특정한 경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웨이퍼를 세척

  • Thermal Processing
    • Oxidation
      • 웨이퍼를 고온의 Furnace 내에서 가열 > 실리콘이 가열되면서 산소와 결합(SiO2SiO_2)
      • oxide 두께의 조절 요인
        • 온도 : 높을수록 두꺼워짐
        • 시간 : 길 수록 두꺼워짐
        • 물질 : 증기 주입 시 두꺼운 산화물, 건조한 공기의 경우 얇은 산화물
    • Rapid Thermal Processing
      • furnace의 단점 : 급격하게 가열 시 웨이퍼가 깨질 수 있음, 온도 조절이 느림
      • 웨이퍼에 상/하단에 빛 조사 > 고온으로 순간 가열, 냉각
    • Selective doping, Diffusion
      • 원하는 영역에 원하는 양을 Doping하는 공정
      • 산화막 위에 Photoresist로 패턴 형성 : 산화막이 diffusion mask 역할
      • 이후 에칭 공정으로 패턴을 제외한 산화막과 PR층 제거
      • 가열 공정으로 이온 도핑
    • 2-step process
      • Predeposition : 원하는 양의 불순물을 주입
      • Drive-in : 원하는 깊이까지 불순물을 영역 형성

  • Ion Implantation
    • Ion implanter로 이온화된 불순물을 추출, 가속하여 웨이퍼에 주입
    • 진공 공정이기 때문에 불순물이 적음
    • 이온 전류를 측정하여 불순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 가능
    • 가속 전압(주입 에너지)를 조절하여 도핑 깊이를 조절 가능
    • photoresist가 implantation mask 역할
      • positive PR : 빛을 받은 부분에 패턴 형성
      • negative PR : 빛을 받지 않은 부분에 패턴 형성
    • implant 이후 PR층을 제거한 뒤 열처리(Anneling)
      • 주입한 이온이 자리를 잡고, 주입에 의한 손상 제거

  • 박막 증착(Thin Film Deposition)
    • Sputtering
      • 이온을 sputtering target에 조사
      • 분리된 target atom이 웨이퍼 위에 박막 형성
      • 이온과 인가 전압차가 클 수록, 조사 이온이 많을수록 박막이 두꺼워짐
    • Evaporation
      • 용기에 source material을 담은 후 전자 빔을 조사
      • 증기가 된 source material이 회전하는 웨이퍼에 박막 형성
      • 초반에 source material 표면이 오염되었을 수 있으므로, shutter를 닫은 후 표면 불순물을 shutter로 이동시킨 후 증착 진행
    •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 원료(Precursor)와 희석재(Diluent, 보통 질소나 산소)를 주입
      • 열을 가해 화학반응 유발
      • 웨이퍼 위에 반응 결과물이 증착
        • Poly-Si : SiH4⇒Si+2H2SiH_4\rArr Si+2H_2
        • SiO2SiO_2 : SiH4+O2⇒SiO2+2H2OSiH_4+O_2\rArr SiO_2+2H_2O
        • Si3N4Si_3N_4 : 3SiH4+4NH3⇒Si3N4+12H23SiH_4+4NH_3\rArr Si_3N_4+12H_2
        • 텅스텐 증착 : WF6+3H2⇒W+6HFWF_6+3H_2\rArr W + 6HF
      • PECVD : 원료/희석재를 플라즈마 형태로 주입 시 저온에서 CVD 공정 가능
      • LPCVD : 저압(상압)에서 CVD공정
    • Epitaxy
      • CVD는 필름이 비정질(amorphous) 형태로 형성
      • Epitaxy : epi(on) + taxy(order) : 크리스탈의 배열/순서/구조가 웨이퍼 위에 순서대로 형성되는 것
      • n-type substrate 위에 p-type epitaxy로 pn junction 형성 가능
        • diffusion이 거의 없으므로 step junction 형성

  • Photolithography : 실리콘 위에 원하는 회로 형성
    • spin coat
      • 웨이퍼 위에 감광액을 뿌리면서 회전, 원심력에 의해 균일 도포
      • soft bake 공정을 통해 감광액의 용매 성분을 제거
    • 포토마스크에 UV선을 쬐어 웨이퍼에 패턴 형성
    • positive PR : 빛을 받은 부분에 패턴 형성
    • negative PR : 빛을 받지 않은 부분에 패턴 형성
    • light source
      • 빛의 파장이 짧을 수록 패턴이 정밀해짐

  • Etching
    • Chemical Etching
      • 화학물질을 사용,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진행(isotropic)
      • 목표한 사이즈보다 패턴이 작아짐(undercut)
    • Dry etching
      •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식각
      • 에칭 방향으로만 식각되는 성질이 있어 정밀한 식각 가능

  • Planarization
    • 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웨이퍼에 화학 물질(slurry) 공급
      • 패드로 압력을 가하면서 표면을 평평하게 가공

2. Fabrication of pn Junctions

  1. n-p junction : p-type silicon
  2. 실리콘 산화막 생성
  3. PR층 형성, 마스크를 통해 UV 노광
  4. PR층 제거, 패턴 형성
  5. N-type 이온 주입
  6. diffusion 영역 형성
  7. 전극 형성을 위해 Al 금속층 형성
  8. PR층 형성, 마스크를 통해 UV 노광
  9. N-type 영역 위에만 Al 전극층 형성
  10. 알루미늄의 산화 방지를 위해 Si3N4Si_3N_4층 형성
  11. 도선 연결을 위해 Si3N4Si_3N_4층 일부 식각
  12. P-type 접점 형성을 위해 N-type측 PR층 생성
  13. P-type substrate에 Au층 형성
  14. Anode(P) 접점은 Metal lead 위에 반도체 접합하여 연결, Cathod(N) 영역은 wire bonding으로 연결

  • 접합면 농도 변화
    • Impurity Diffusion : Diffused junction
      • 이온 주입을 이용하여 p-n junction 형성시 일정하게 변화하는 접합 형성
      • 접합면에서의 농도차는 거의 선형
      • predeposition 시 급격한 농도 변화
      • Drive in 공정 후 농도 변화는 점진적으로 변화
    • Epitaxial Growth : Grown junction
      • 접합면에서 농도가 급격하게 변화 (step junction)
      • metallurgical junction : 접합면 ND−NA=0N_D-N_A=0, p-n의 경계
    • Ion Implantation : Implanted Junction
      • Implantation energy가 높을수록 더 깊은 도핑 가능
      • 이온을 여러번 주입하여 반도체 특성을 조절 가능
  • Doping Profile
    • metallurgical junction (ND−NA=0N_D-N_A=0)의 위치가 pn junction의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 step junction : implant, shallow-diffusion, grown junction 시 형성
    • linearly graded junction : deep-diffusion 시 형성

728x90
728x90
6. Hall Effect, Quasi Fermi Level

6. Hall Effect, Quasi Fermi Level

Hall Effect

  • 물질에 자기장과 그에 수직한 전압을 가해 주면 majority carrier와 캐리어 농도, mobility를 분석 가능
  • 자계 내에서 움직이는 전하는 F=qv×BF=qv\times B의 로렌츠 힘을 받음
  • 자계와 전압에 모두 수직한 방향으로 전위차 VHV_H 형성
    • n-type에서는 (-), p-type에서는 (+)전압 형성
    • 정공이 만약 VB 전자의 빈 자리라고 할 경우 p-type 반도체의 VHV_H 역시 전자에 의해 (-)전압이 형성된다.
    • 하지만 실제로는 (+)전압이 형성되므로 정공 역시 빈 자리가 아닌 실제 입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Hall 전압이 가해지면 전위차에 의한 induced electric field가 형성
  • 로렌츠 힘은 (-) > (+), 전계는 (+) > (-) 방향으로 형성
  • steady state에서 F=q[E+v×B]=0F=q[E+v\times B]=0
    • 홀 전압 VH=EHW=EYW=vXBZWV_H=E_HW=E_YW=v_XB_ZW

    • p-type : vX=JX/qp=IX/qpWdv_X=J_X/qp=I_X/qpWd

      • VH=IXBZ/qpdV_H=I_XB_Z/qpd
      • p=IXBZ/qdVHp=I_XB_Z/qdV_H
    • n-type : vX=JX/qn=IX/qnWdv_X=-J_X/qn=-I_X/qnWd

      • VH=IXBZ/qndV_H=-I_XB_Z/qnd
      • n=IXBZ/qdVHn=I_XB_Z/qd|V_H|
    • mobility μ=IXL/qpVXWd=IXL/qnVXWd\mu=I_XL/qpV_XWd=I_XL/qnV_XWd

  • Hall Coefficient RHR_H
    • RHn=1/qnR_{Hn}=-1/qn
    • RHp=1/qpR_{Hp}=1/qp

Quasi-Fermi Level

  • non-equilibrium 상태에서는 mass action law가 만족하지 않음 ( npni2np\not ={n_i^2} )
  • 그러므로 전자, 정공에 대한 quasi-fermi level을 각각 정의
    • n=n0+Δn=niexp[(FNEi)/kT]n=n_0+\Delta n=n_iexp[(F_N-E_i)/kT]
      • FN=Ei+kTln(n/ni)F_N=E_i+kTln(n/n_i)
    • p=p0+Δp=niexp[(EiFP)/kT]p=p_0+\Delta p=n_iexp[(E_i-F_P)/kT]
      • FP=EikTln(p/ni)F_P=E_i-kTln(p/n_i)
    • np=ni2exp[(FNFP)/kT]np=n_i^2exp[(F_N-F_P)/kT]
  • FN>FPF_N>F_P : Carrier excess ( np>ni2np>n_i^2 )
  • FN<FPF_N<F_P : Carrier deficit ( np<ni2np<n_i^2 )
  • FN=FP=EFF_N=F_P=E_F : equilibrium ( np=ni2np=n_i^2 )

  • Low level injection 하에서 페르미 레벨 대비 minority carrier의 quasi fermi level은 majority carrier보다 큰 차이를 보임
    • ex. n0=1015n_0=10^{15} , p0=105p_0=10^5 , ni=1010n_i=10^{10} , Δn=Δp=1011\Delta n=\Delta p=10^{11}
    • FN=Ei+kTln(n/ni)Ei+kTln(n0/ni)=Ei+kTln(105)F_N=E_i+kTln(n/n_i)\simeq E_i+kTln(n_0/n_i)=E_i+kTln(10^5)
    • FP=EikTln(p/ni)EikTln(Δp/ni)=EikTln(10)F_P=E_i-kTln(p/n_i)\simeq E_i-kTln(\Delta p/n_i)=E_i-kTln(10)
    • EF=Ei+kTln(n0/ni)=EikTln(p0/ni)=Ei+kTln(105)E_F=E_i+kTln(n_0/n_i)=E_i-kTln(p_0/n_i)=E_i+kTln(10^5)

  • 전류밀도 = diffusion + drift
    • JP=qpμpEqDppJ_P=qp\mu_pE-qD_p\nabla p

    • p=nikTe(EiEF)/kT(EiFP)=qpkTEpFPkT\nabla p=\frac{n_i}{kT}e^{(E_i-E_F)/kT}(\nabla E_i-\nabla F_P)=\frac{qp}{kT}E-\frac{p\nabla F_P}{kT}

      • Ei=qE\nabla E_i=qE
      • EiE_i, FPF_P는 상수가 아니므로 각각 미분
    • JP=qpE(μpqDPkT)+qpDpkTFP=μppFPJ_P=qpE(\mu_p-\frac{qD_P}{kT})+\frac{qpD_p}{kT}\nabla F_P=\mu_pp\nabla F_P

      • μp=qDpkT\mu_p=\frac{qD_p}{kT} (einstein relationship)
  • {JP=μppFp=μpp(FPEi)+μppEiJN=μnnFn=μnn(FNEi)+μnnEi\begin{cases} J_P=\mu_pp\nabla F_p=\mu_pp\nabla(F_P-E_i)+\mu_pp\nabla E_i\\ J_N=\mu_nn\nabla F_n=\mu_nn\nabla(F_N-E_i)+\mu_nn\nabla E_i \end{cases}
    • μpp(FPEi)\mu_pp\nabla(F_P-E_i) : Drift Current
    • μppEi\mu_pp\nabla E_i : Diffusion Current

Pulse Doping

  • 특정 위치에 대해서만 Donor 도핑 시
    • 도핑 중심 영역은 균일한 농도를 갖게 되므로 변화가 없음, 도핑 농도가 변화하는 지점에 대해서 drift + diffusion
      • 도핑된 위치를 중심으로 바깥으로 diffusion
      • 이온화된 Donor과 확산된 전자에 의한 전계 형성, 도핑 농도가 높은 쪽으로 전자 drift
    • 도핑 농도차가 생기는 지점을 경계로 안쪽은 +, 바깥쪽은 - 전하가 쌓여 equilibrium 상태
728x90
728x90
5. Equation of State

5. Equation of State

Equations of state

  • 실제 반도체에서 carrier action(generation, recombination, diffusion, drift)은 동시에 발생
  • 그 결과 전자 및 정공 농도, 전위에 영향
  • Equations of state
    • 반도체의 상태를 완벽하게 설명하기 위한 방정식
    • carrier action의 효과를 모두 고려
    • n(x,y,z,t), p(x,y,z,t), V(x,y,z,t)n(x,y,z,t),\ p(x,y,z,t),\ V(x,y,z,t)로 표현

  • Continuity Equation의 도출 과정

    • 생성-결합을 제외한 보존 법칙 : J=ρt\nabla\cdot J=-\frac{\partial\rho}{\partial t}
      • 전자의 ρ=qn\rho=-qn
        J=qnt\nabla\cdot J=q\frac{\partial n}{\partial t}

      • 정공의 ρ=qp\rho=qp
        J=qpt\nabla\cdot J=q\frac{\partial p}{\partial t}

    • 생성-결합을 고려한 Continuity Equations
      • nt=ntdrift+ntdiff+ntthermalRG+ntother\frac{\partial n}{\partial t}=\frac{\partial n}{\partial t}|_{drift}+\frac{\partial n}{\partial t}|_{diff}+\frac{\partial n}{\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n}{\partial t}|_{other}
        =1qJN+ntthermalRG+ntother=\frac{1}{q}\nabla\cdot J_N+\frac{\partial n}{\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n}{\partial t}|_{other}

      • pt=ptdrift+ptdiff+ptthermalRG+ptother\frac{\partial p}{\partial t}=\frac{\partial p}{\partial t}|_{drift}+\frac{\partial p}{\partial t}|_{diff}+\frac{\partial p}{\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p}{\partial t}|_{other}
        =1qJP+ptthermalRG+ptother=-\frac{1}{q}\nabla\cdot J_P+\frac{\partial p}{\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p}{\partial t}|_{other}

  • 반도체의 상태 - 전자, 정공, 전위(Eq. of states) - 밴드 다이어그램은 서로 연관되어있는 상태

    • 에너지 밴드를 그릴 수 있다 = 반도체 상태를 알 수 있다 = 정공, 전자, 전위를 안다

  • Equation Set used in Semiconductor device
    • Conservation Law : 위치에 대한 비선형 2차 편미분방정식

      • 1qJN+ntthermalRG+ntother\frac{1}{q}\nabla\cdot J_N+\frac{\partial n}{\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n}{\partial t}|_{other}

      • 1qJP+ptthermalRG+ptother-\frac{1}{q}\nabla\cdot J_P+\frac{\partial p}{\partial t}|_{thermal R-G}+\frac{\partial p}{\partial t}|_{other}

      • D=ρ\nabla\cdot D=\rho ( 2V=ρ/ϵ\nabla^2V=-\rho/\epsilon )

    • Constitutive Relations

      • ρ=q(ND++pNAn)\rho=q(N_D^++p-N_A^--n) : Charge Neutality Condition
      • D=ϵED=-\epsilon E
      • JN=qnμnE+pDNnJ_N=qn\mu_nE+pD_N\nabla n
      • JP=qpμpEqDppJ_P=qp\mu_pE-qD_p\nabla p
    • 매우 작은 반도체 구조에는 슈뢰딩거 방정식 역시 고려


Minority Carrier Diffusion Equation

  • 계산을 위한 가정

    • 1차원 분석

    • minority carrier에 의해 majority carrier가 구해짐

    • 전계는 매우 작음 (= Diffusion Equation)

    • uniform doping

      • 선형방정식 유도
      • uniform doping : n=n0(x,y,z)+Δn(t)n=n_0(x,y,z)+\Delta n(t)에서 n0n_0는 위치에 무관한 상수
    • low-level injection

      • nonequilibrium 상태에 의한 초과 캐리어는 majority 캐리어 농도보다 매우 작다.
      • Δn(t)<<n0\Delta n(t)<<n_0
    • 열에 의한 생성-재결합은 캐리어 농도 변화에 의해 간접적으로 발생

    • 추가적인 변화는 빛 에너지에 의해서만 발생

  • Minority Carrier Diffusion Equation

    • Δnpt=DN2Δnpx2Δnpτn+GL\frac{\partial\Delta n_p}{\partial t}=D_N\frac{\partial^2\Delta n_p}{\partial x^2}-\frac{\Delta n_p}{\tau_n}+G_L (p-type)

    • Δpnt=DP2Δpnx2Δpnτp+GL\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frac{\Delta p_n}{\tau_p}+G_L (n-type)

    • Steady State : Δnpt\frac{\partial\Delta n_p}{\partial t} ( Δpnt\frac{\partial\Delta p_n}{\partial t} ) =0=0

    • No Concentration Gradient (No Diffusion, Uniformly Generated) :
      DP2Δnpx2D_P\frac{\partial^2\Delta n_p}{\partial x^2} ( DP2Δpnx2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 ) =0=0

    • No Thermal R-G : Δnpτn\frac{\Delta n_p}{\tau_n} ( Δpnτp\frac{\Delta p_n}{\tau_p} ) =0=0

    • No Light : GL=0G_L=0


Solutions of Minority Carrier Diffusion Equation

  • 주어진 조건 파악 : 반도체 물질, 온도, 전자-정공 농도, lifetime, 외부 자극 등등
  • 초기 상태 정의 : Fully-ionized 상태에서의 전자, 정공 농도
  • 방정식 조건 분석 : Steady State, No Diffusion 등등
  • 방정식 풀이 계산
  • 계산한 해가 앞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재확인

  • ex. room temperature, uniformly generated, n-type
    • minority carrier : DP2Δpnx2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 =0=0 이므로

    • Δpnt=Δpnτp+GL\frac{\partial\Delta p_n}{\partial t}=-\frac{\Delta p_n}{\tau_p}+G_L

    • initial condition : Δpn(t=0)=0\Delta p_n(t=0)=0

    • Δpn(t)=GLτp(1exp[t/τp])\therefore \Delta p_n(t)=G_L\tau_p(1-exp[-t/\tau_p])

  • 시간이 흐름에 따라 excess carrier는 0에서 Δp\Delta p를 향해 수렴
  • 재확인
    • GLτpG_L\tau_p의 단위는 1/cm31/cm^3, 정공 농도와 단위 동일
    • low-level injection validity 확인

  • ex 2. room temperature, surface generated, n-type, GL=0G_L=0
    • steady state : Δpnt=DP2Δpnx2Δpnτp=0\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frac{\Delta p_n}{\tau_p} = 0

    • General Solution : Δpn(x)=Aex/Dpτp+Bex/Dpτp\Delta p_n(x)=Ae^{-x/D_p\tau_p}+Be^{x/D_p\tau_p}

    • surface generation

      • Δpn(0)=ΔPn0\Delta p_n(0)=\Delta P_{n0} , Δpn()=0\Delta p_n(\infty)=0
      • 표면에서만 excess carrier 생성
    • Δpn(x)=ΔPn0exp[x/DPτp ]\therefore \Delta p_n(x)=\Delta P_{n0}exp[-x/\sqrt{D_P\tau_p}\ ]

    • DpτpLp\sqrt{D_p\tau_p}\equiv L_p : hole diffusion length

    • diffusion length

      • <x>=xΔpn(x)Δpn(x)<x>=\frac{\int x\Delta p_n(x)}{\int \Delta p_n(x)}는 x=0일 때 Δpn(x)\Delta p_n(x)의 접선으로 나타남
      • 기댓값 <x><x>는 거리의 평균값, 즉 Diffusion에 의해 평균적으로 캐리어가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
      • 캐리어의 이동 거리는 전속밀도 DD와 lifetime τ\tau에 비례하게 됨

  • ex3. local carrier generation, n-type
    • 특정 지점에서 Electron-hole pair가 계속 생성

    • steady state : Δpnt=DP2Δpnx2Δpnτp+gδ(x)=0\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frac{\Delta p_n}{\tau_p} +g\delta(x)= 0

    • boundary condition : Δp(±)=0\Delta p(\pm\infty)=0

      • 생성 지점 좌우로 diffusion
    • Δp(x)={Aexp(x/LN) : x<0Aexp(x/LN) : x0\Delta p(x)=\begin{cases} Aexp(x/L_N)\ :\ x<0\\ Aexp(-x/L_N)\ :\ x\geq0 \end{cases}

    • 델타함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 계산 : 00^-~0+0^+ 적분

      • A=gLN/2DNA=gL_N/2D_N
      • Δp(x)={(gLN/2DN) exp(x/LN) : x<0(gLN/2DN) exp(x/LN) : x0\therefore\Delta p(x)=\begin{cases} (gL_N/2D_N)\ exp(x/L_N)\ :\ x<0\\ (gL_N/2D_N)\ exp(-x/L_N)\ :\ x\geq0 \end{cases}

  • ex4. Instant local carrier generation, n-type, drift & diffusion
    • ex3과 다르게 1회성 EHP 생성

    • Δpnt=DP2Δpnx2μpϵ0ΔpnxΔpnτp\frac{\partial\Delta p_n}{\partial t}=D_P\frac{\partial^2\Delta p_n}{\partial x^2}-\mu_p\epsilon_0\frac{\partial\Delta p_n}{\partial x}-\frac{\Delta p_n}{\tau_p}

    • diffusion에 의해 시간이 흐를수록 가우시안 형태의 분포가 폭이 넒어짐

      • Δp(x,t)=p(x,t)exp[t/τp]\Delta p(x,t)=p'(x,t)exp[-t/\tau_p]
    • boundary condition : Δp(±)=0\Delta p(\pm\infty)=0

    • 미분방정식에 위의 해 대입

      • Δpt=DP2px2μpϵ0px\frac{\Delta p'}{\partial t}=D_P\frac{\partial^2p'}{\partial x^2}-\mu_p\epsilon_0\frac{\partial p'}{\partial x}
      • p(x,t)=Δps4πDPtexp[(xμpϵ0t)24DPt](cm2)\therefore p'(x,t)=\frac{\Delta p_s}{\sqrt{4\pi D_Pt}}exp[-\frac{(x-\mu_p\epsilon_0t)^2}{4D_Pt}](cm^{-2})
      • Δps\Delta p_s : Electron hole pair 생성에 의한 excess carrier
    • pp'를 위 해에 대입

      • Δp(x,t)=Δps exp[t/τP]4πDPtexp[(xμpϵ0t)24DPt](cm2)\Delta p(x,t)=\frac{\Delta p_s\ exp[-t/\tau_P]}{\sqrt{4\pi D_Pt}}exp[-\frac{(x-\mu_p\epsilon_0t)^2}{4D_Pt}](cm^{-2})
      • et/τPe^{-t/\tau_P} : 재결합에 의한 excess carrier 농도 감소
      • 4πDPt\sqrt{4\pi D_Pt} : diffusion에 의한 peak 농도 감소
      • 4DPt4D_Pt : diffusion에 의한 분포 폭 증가
      • (xμpϵ0t)2(x-\mu_p\epsilon_0t)^2 : drift에 의한 shift
    • 재확인

      • Δps=0\Delta p_s=0
        • Electron-Hole pair 생성이 없음
        • Δp(x,t)\Delta p(x,t)=0
      • limiting case
        • τp=0\tau_p=0
          • excess carrier 생성 즉시 소멸
          • et/τP=0e^{-t/\tau_P}=0이 되므로 Δp(x,t)=0\Delta p(x,t)=0
        • DP=D_P=\infty or t=t=\infty
          • 생성된 excess carrier가 완전히 diffusion
          • Δp(x,t)=0\Delta p(x,t)=0
728x90
728x90
4. Carrier Generation & Recombination

4. Carrier Generation & Recombination

1. Recombination & Generation

  • 캐리어가 과도하거나 부족한 상태를 평형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

  • Generation : 0+E→e+h0+E\rarr e+h

    • thermal generation : np<ni2np<n_i^2으로 캐리어가 부족 + 열 에너지에 의해 발생
    • 빛 등 외부 에너지에 의해서도 발생
  • Recombination : 0+E←e+h0+E\larr e+h

    • np>ni2np>n_i^2으로 캐리어가 과도해지면 발생

  • Equilibrium
    • generation과 recombination이 같은 비율로 일어나 거시적으로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
    • np=ni2np=n_i^2
    • 전류밀도 JN=JP=0J_N=J_P=0인 상태
    • 페르미 준위가 단일 값을 갖는 상태
  • Steady State
    • 외부에서의 에너지 영향이 존재하나 시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
    • np≠ni2np\not=n_i^2
    • 전류밀도는 0이 아닐 수 있음
  • Transient State
    • Equilibrium / steady state 사이의 과도기
    • n, p, 페르미 준위는 시간에 따라 변화
    • 전류 밀도는 0일 수도, 아닐 수도 있음

2. Recombination - Generation Mechanism

  • Recombination\\
    • band-to-band recombination
      • conduction band의 전자가 valance band의 정공과 만남
      • 에너지는 빛의 형태로 방출
    • R-G center recombination
      • 불순물 등에 의해 forbidden band 내에 에너지 준위 형성
      • 이 준위에서 합쳐지거나, 이 준위를 타고 전자가 valance band로(or 정공이 conduction band로) 이동하여 합쳐지는 것으로 해석
      • 에너지는 열의 형태로 방출
    • Auger Recombination
      • band-to-band recombination으로 인한 에너지가 방출되지 않고, 같은 밴드 내 다른 캐리어로 가해짐
      • Thermalization : 에너지를 받은 캐리어는 운동 에너지를 받아 높은 준위로 올라간 후, 서서히 자신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원래 준위로 복귀

  • Generation\\
    • Band-to-Band generation
      • 외부 에너지에 의해 전자가 valance band에서 conduction band로 올라가며 그 자리에 정공 생성
    • R-G center generation
      • 불순물 등에 의한 forbidden band 내부 준위로 인해 valance band 내 전자가 더 쉽게 conduction band로 올라감
    • impact ionization (avalanche mechanism)
      • 외부 전계에 의해 conduction band 내의 자유전자가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됨
      • 이 운동 에너지가 valance band 내 전자에 가해지면서 새로운 electron-hole pair 생성

  • Auger Process
    • impact ionization by electron
      • 외부 전계에 의해 conduction band 내의 자유전자가 운동 에너지를 갖게 됨
      • 이 운동 에너지가 valance band 내의 다른 전자에 가해지면서 새로운 electron-hole pair 생성
      • Auger Recombination : conduction band의 전자가 recombination되며 생성된 에너지가 conduction band 내 다른 전자에 가해짐
        • Raug=C1(n2p−n0p0)R_{aug}=C_1(n^2p-n_0p_0)
    • impact ionization by hole
      • valance band 내의 정공이 갖고 있던 운동에너지가 밴드 내 다른 전자에 가해지면서 pair 생성
      • Auger Recombination : recombination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가 hole의 운동에너지로 변환
        • Raug=C2(n2p−n0p0)R_{aug}=C_2(n^2p-n_0p_0)

  • Energy and Momentum Consideration
    • 전자-정공의 생성-결합은 에너지, 운동량 보존법칙을 준수
    • E-k diagram에서 E는 에너지, k는 운동량을 확인
    • 생성-결합의 중요 입자
      • 광자(photon)
        • 큰 에너지(Eph=hvE_{ph}=hv), 작은 운동량 (p=h/λp=h/\lambda, λ≃1μm\lambda\simeq1\mu m)
        • 에너지 보존 법칙에 영향
      • 포논(phonon)
        • 작은 에너지 (수십mV), 큰 운동량 (p=h/λp=h/\lambda, λ≃1nm\lambda\simeq1nm)
        • 운동량 보존 법칙에 영향
      • 파동의 속도는 광자쪽이 훨씬 빠름 (≃c\simeq c)

  • Direct/Indirect semiconductor\\
    • Direct Semiconudctor

      • E-k diagram에서 Conduction Band의 최저점과 Valance Band의 최고점이 나타나는 k값이 동일한 경우
      • electron-hole의 운동량이 0
      • recombination에 의한 에너지 방출 ( = 에너지 보존 법칙 ), 방출 에너지의 운동량이 0 (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 Indirect Semiconductor

      • E-k diagram에서 Conduction Band의 최저점과 Valance Band의 최고점이 나타나는 k값이 다름
      • phonon에 의해 k의 운동량을 갖고 광자 혹은 외부 에너지에 의해 전자-정공이 결합

  • Generation Center\\
    • 반도체 내 도핑 혹은 결정 결함(defect) 에 의해 Conduction-Valance Band 내 에너지 준위를 형성

    • R-G Center Recombination의 속도는 추가된 준위와 conduction-valance band 간 거리 중 먼 쪽에 의해 영향

    • bandgap 사이를 이동하는 캐리어의 lifetime을 줄이기 위해 금속을 반도체에 도핑해줌

    • DRAM같은 경우 오히려 전하가 오래 머무는 것이 중요하므로 defect를 줄이는 쪽으로 공정 진행


3. R-G Statics

  • 캐리어 농도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생성-결합의 수학적 표현

  • Light Absorption
    • 위치에 따라 빛의 에너지는 지수적으로 감소
      • I(x)=I(0)exp[−αx]I(x)=I(0)exp[-\alpha x]
    • 빛의 파장(에너지)에 의해 빛의 흡수 계수 α\alpha가 결정
      • 짧은 파장 = 큰 에너지 = 큰 흡수계수

  • Indirect semiconductor의 경우 Generation-Recombination 과정이 valance band의 top에서 conduction band의 bottom으로 이동하는 과정이므로 에너지 뿐 아니라 phonon의 영향도 같이 받게 됨

  • 이때 가해지는 에너지가 일정 이상이 되면, 굳이 conduction band의 bottom 지점이 아닌 k값이 일치하는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해짐

  • 이로 인해 phonon의 영향이 적어지고, 이 지점에서 흡수계수가 갑자기 커지게 됨(ex. Ge, InGaAs ...)


  • Band to Bnad generation
    • Photon의 생성 개수 Nph(x)=Nph(0)exp[−αx]N_{ph}(x)=N_{ph}(0)exp[-\alpha x]

    • Photon의 생성 속도 dNph(x)dx=−α(λ)Nph(x)\frac{dN_{ph}(x)}{dx}=-\alpha(\lambda)N_{ph}(x)

    • 캐리어 generation 속도 = photon이 사라지는(에너지가 흡수되는) 속도

      • GL(x,λ)=−dNph(x)dt=−dNph(x)dxdxdt−vgphNph(x)=vgphα(λ)Nph(x)=GL(0,λ)exp[−α(λ)x]G_L(x, \lambda)=-\frac{dN_{ph}(x)}{dt}=-\frac{dN_{ph}(x)}{dx}\frac{dx}{dt}-v_{gph}N_{ph}(x)\\=v_{gph}\alpha(\lambda)N_{ph}(x)=G_L(0,\lambda)exp[-\alpha(\lambda)x]
      • alpha가 매우 작은 경우 : 생성 속도가 일정 (GL(x,λ)=GL(0,λG_L(x,\lambda)=G_L(0,\lambda)
      • alpha가 매우 큰 경우 : 특정 지점에서 순간적으로 pair 생성 GL(x)=GL(0)δ(x)G_L(x)=G_L(0)\delta(x)
    • Free-Carrier Absorbtion : 에너지가 conduction band의 전자나 valance band의 정공에 가해져서 캐리어 생성 없이 운동 에너지만 증가시키는 현상


  • Trap Assisted R-G
    • impurity에 의해 생성된 준위에 의한 생성-결합

  • 용어 정의
    • n0, p0n_0,\ p_0 : equilibrium 상태의 전자/정공 농도
    • n, pn,\ p : 임의 상태에서의 전자/정공 농도
    • Δn≡n−n0\Delta n\equiv n-n_0 : equilibrium 상태에서의 전자 농도 변화
    • Δp≡p−p0\Delta p\equiv p-p_0 : equilibrium 상태에서의 정공 농도 변화
    • NTN_T : R-G Trap (impurity에 의해 생성된 준위)의 상태밀도

  • Low-level injection
    • Perturbation : majority carrier는 거의 변하지 않고, minority carrier만 변화한다.
      • n-type에서 Δp<<n0, n≃n0\Delta p<<n_0,\ n\simeq n_0
      • p-type에서 Δn<<p0, p≃p0\Delta n<<p_0,\ p\simeq p_0

  • 외부 에너지가 가해주는 순간 캐리어 농도에 변화가 발생 (Δp0\Delta p_0)

  •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재결합에 의해 Δp\Delta p는 감소

  • 충분한 시간이 흐르고 나면 평형 상태로 복귀 (Δp=0\Delta p=0)

  • ex) ni=1010cm−3n_i=10^{10}cm^{-3}, ND=1014cm−3N_D=10^{14}cm^{-3}\\ perturbation에 의해 Δp=Δn=109cm−3\Delta p=\Delta n=10^9cm^{-3}

    • n=n0+Δn=1014+109≃1014≃n0n=n_0+\Delta n=10^{14}+10^9\simeq10^{14}\simeq n_0
    • p=p0+Δp=106+109≃109≃Δpp=p_0+\Delta p=10^6+10^9\simeq10^9\simeq\Delta p
  • 시간에 따른 정공의 결합/생성 변화(n-type, indirect)

    • ∂p∂t∣R=−cpNTp\frac{\partial p}{\partial t}|_R=-c_pN_Tp
      • NTN_T : Trap의 상태밀도
      • pp : 정공의 농도
      • cpc_p : 비례상수
    • ∂p∂t∣G=−∂p∂t∣R, equilibrium=cpNTp0\frac{\partial p}{\partial t}|_G=-\frac{\partial p}{\partial t}|_{R,\ equilibrium}=c_pN_Tp_0
    • thermal R-G에 의해 정공의 시간에 따른 변화 ∂p∂t∣i−thermal−R−G=∂p∂t∣R−∂p∂t∣G=−cpNT(p−p0)=−cpNTΔp\\\frac{\partial p}{\partial t}|_{i-thermal-R-G}=\frac{\partial p}{\partial t}|_R-\frac{\partial p}{\partial t}|_G=-c_pN_T(p-p_0)\\=-c_pN_T\Delta p
    • p-type 반도체에서 thermal R-G에 의한 전자의 시간에 따른 변화∂n∂t∣i−thermal−R−G=−cnNTΔn\\\frac{\partial n}{\partial t}|_{i-thermal-R-G}=-c_nN_T\Delta n

  • electron/hole lifetime
    • thermal R-G에서 전자, 정공의 변화 속도
      • ∂p∂t∣i−thermal−R−G=−cpNTΔp=−Δpτp\frac{\partial p}{\partial t}|_{i-thermal-R-G}=-c_pN_T\Delta p=-\frac{\Delta p}{\tau_p}
      • ∂n∂t∣i−thermal−R−G=−cnNTΔn=−Δnτn\frac{\partial n}{\partial t}|_{i-thermal-R-G}=-c_nN_T\Delta n=-\frac{\Delta n}{\tau_n}
      • τp=−(cpNT)−1\tau_p=-(c_pN_T)^{-1} : hole의 lifetime
    • perturbation이 없는 일반적인 경우
      • ∂p∂t∣i−thermal−R−G=∂n∂t∣i−thermal−R−G=ni2−npτp(n+n1)+τn(p+p1)\frac{\partial p}{\partial t}|_{i-thermal-R-G}=\frac{\partial n}{\partial t}|_{i-thermal-R-G}=\frac{n_i^2-np}{\tau_p(n+n_1)+\tau_n(p+p_1)}
      • n1≡niexp[(ET−Ei)/kT]n_1\equiv n_iexp[(E_T-E_i)/kT]
      • p1≡niexp[(Ei−ET)/kT]p_1\equiv n_iexp[(E_i-E_T)/kT]

  • Direct semiconductor의 경우
    • R=A(n−n0)+B(np−ni2)+C1(n2p−n02p0)+C2(np2−n0p02)R=A(n-n_0)+B(np-n_i^2)+C_1(n^2p-n_0^2p_0)+C_2(np^2-n_0p_0^2)
      • AA : R-G center Recombination
      • BB : Band-to-Band Recombination
      • C1, C2C_1,\ C_2 : Auger Recombination
      • 캐리어 농도에 따라 lifetime 변화
      • ex. silicon
        • τn=(3.45×10−12NA+9.5×10−32NA2)−1\tau_n=(3.45\times10^{-12}N_A+9.5\times10^{-32}N_A^2)^{-1}
        • τp=(7.8×10−13ND+1.8×10−31ND2)−1\tau_p=(7.8\times10^{-13}N_D+1.8\times10^{-31}N_D^2)^{-1}

4. Minority Carrier Lifetime & Measurement

  • 외부 에너지에 의해 추가된 carrier는 지수적으로 감소
  • Δn(t)=Δn(0)exp[−t/τn]\Delta n(t)=\Delta n(0)exp[-t/\tau_n]
  • ln[Δn(t)]=ln[Δn(0)]−t/τnln[\Delta n(t)]=ln[\Delta n(0)]-t/\tau_n
728x90
728x90
3. Diffusion

3. Diffusion

1. Diffusion

  • 입자 농도(화학적 포텐셜)의 기울기(Gradient)\\ + 열에너지, Scattering에 의한 Random Motion에 의해 발생
    • Random Motion : 고농도 / 저농도측 모두 입자가 랜덤한 양으로 이동\\경계를 통과하는 입자수는 고농도측 입자가 더 많음\\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두 영역이 평형 상태가 됨
  •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입자가 이동(재분배)
  • 평형 상태가 될 때까지 이동
    • 반도체의 경우 Charged Particle에 의해 Diffusion이 끝나도 같은 농도가 아닐 수 있음

2. Diffusion Current

  • Diffusion에 의한 입자 흐름
    • F=Dη\mathcal{F}=-D\nabla\eta
    • diffusion flux = -(diffusion Coefficient)×Grad(Concentration)
    • η\nabla\eta가 ( - ) : diffusion은 농도가 감소하는 쪽으로 발생
  • 전자 diffusion current density : JNdiff=qDNnJ_{Ndiff}=qD_N\nabla n
    • 전자 diffusion은 농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
    • 전자와 전류의 방향은 반대이므로 JNdiffJ_{Ndiff}는 ( + )
  • 정공 diffusion current density : JPdiff=qDPpJ_{Pdiff}=-qD_P\nabla p
    • hole diffusion은 농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
    • hole diffusion과 current 같은 방향이므로 JPdiffJ_{Pdiff}는 ( - )

  • Total Current = Drift + Diffusion
    • hole : JP=JPdrift+JPdiff=qpμpEqDPpJ_P=J_{Pdrift}+J_{Pdiff}=qp\mu_pE-qD_P\nabla p
    • electron : JN=JNdrift+JNdiff=qnμnE+qDNnJ_N=J_{Ndrift}+J_{Ndiff}=qn\mu_nE+qD_N\nabla n
    • J=JP+JNJ=J_P+J_N
  • Drift Current는 전기적 포텐셜에 영향을 많이 받아 Majority Carrier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Diffusion Current는 농도차의 영향을 받으므로 Major 뿐 아니라 Minority Carrier의 영향 역시 유의미하게 존재한다.

  • Built-in Electric Field
    • 캐리어 농도가 불균일한 상태로 평형 상태가 되도록 하는 힘
    • JN=JP=0J_N=J_P=0일 때 equilitbrium
    • equilibrium일 때 전류밀도의 식을 이용하면
      • electric field E=Dppμpp=DnnμnnE=\frac{D_p\nabla p}{\mu_pp}=-\frac{D_n\nabla n}{\mu_nn}
      • equilibrium 상태여도 농도차의 항 n, p\nabla n,\ \nabla p는 존재
      • uniform doping 인 경우 n=p=0\nabla n=\nabla p=0, electric field=0
      • 불균일한 doping인 경우 n, p0\nabla n,\ \nabla p\not =0\\평형 상태에서 J=0J=0이 되기 위해 built-in electric field가 존재하게 됨.

  • Hot Point Probe Measurement
  • 온도가 높은 probe와 낮은 probe 사이에 전류계를 연결
  • hot probe 쪽의 입자가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 점을 이용한 전류 측정
  • p-type 입자가 더 많은 경우 전류가 ( - ), n-type입자가 더 많은 경우 ( + )

3. Energy Band Diagram

  • 가로축 : x 방향
  • 원점의 valance band를 ErefE_{ref}로 가정
  • reference energy를 기준으로
    • electron potential energy : EC(x)ErefE_C(x)-E_{ref}
    • hole potential energy : ErefEV(x)E_{ref}-E_V(x)
    • conduction band 초과치 : electron kinetic energy
    • valance band 초과치 : hole kinetic energy
    • total energy = kinetic + potential
  • Electic potential V(x)=1q[EC(x)Eref]V_(x)=-\frac{1}{q}[E_C(x)-E_{ref}]
    • ECE_C 대신 Ei, EVE_i,\ E_V값이 들어갈 수 있음
    • heavy doping이 아닌 이상 EC, Ei, EVE_C,\ E_i,\ E_V는 parallel
    • 이전 그림에서 Ec(x)E_c(x)는 x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전위는 증가
  • Electric Field E(x)=V(x)=1qEC(x)E(x)=-\nabla V(x)=\frac{1}{q}\nabla E_C(x)
    • 전위가 중간에 증가하고 양 끝단에서는 일정 값을 유지하므로 중간 지점에서 강하게 나타남
  • Charge Density ρ(x)=D(x)=[ϵE(x)]=ϵ2V(x)\rho(x)=\nabla\cdot D(x)=\nabla\cdot[\epsilon E(x)]=-\epsilon\nabla^2V(x)

  • Equilibrium
    • 모든 순/역방향 캐리어 이동이 동등한 상태
    • 물리적 관측량은 변화가 없음
    • 일정한 fermi level : EF,dEF(x)/dx=0\nabla E_F,dE_F(x)/dx=0
    • Net current가 0 : JP+JN=0J_P+J_N=0
    • Net carrier generation/recombination이 0 :\\ nondegenerate 반도체에서 np=ni2np=n_i^2
    • 불균일 도핑의 경우 diffusion에 의한 전류를 drift 전류가 상쇄한다(built-in electric field)

4. Band Bending

  • 불균일한 도핑이나 applied electric field는 nonzero electric field, chage imbalance를 유발
  • nonzero electric field : potential 에너지의 기울기 존재, band banding 발생
    • electron/hole drift 전류가 존재
    • drift 전류 상쇄를 위한 diffusion current 존재
    • the law of detailed balance : equilibrium 상태에서\\ 총 electron/hole 전류는 0, 페르미 준위는 constant (np=ni2np=n_i^2)
  • equilibrium = 페르미 준위가 상수이고, 하나의 값을 갖는 상태
    • 상수 페르미 준위 = 전자/정공 전류는 0
    • 단일 페르미 준위 = 캐리어 생성/결합 비율이 동일

  • non-uniformly doped semiconductor
  • 이온화된 donor는 (+), 전자(n)은 (-) charge
    • 가운데는 donor가 더 많아 전하밀도가 (+), 양 끝은 전자가 많아 (-)
    • 전하밀도 ρ\rho는 전계의 기울기이므로 기함수 형태의 전계 그래프가 형성
  • EFE_F는 상수이고, 양 끝단에서는 EFEiE_F-E_i가 작고 중앙에서는 커지는 모양을 형성하여야 함
  • np=ni2np=n_i^2의 식을 만족하기 위해 Ec,EiE_c, E_i도 같은 모양을 형성

5. Einstein Relationship

  • Constancy of Fermi level in Equilibrium
    • 임의 지점 1, 2에서의 fermi level을 EF1, EF2E_{F1},\ E_{F2}로 가정
    • 이 지점에서의 온도를 T1,T2T_1, T_2로 가정
    • 입자의 이동 비율 r12=R0f(E1)[1f(E2)]r_{12}=R_0f(E_1)[1-f(E_2)], r21=R0f(E2)[1f(E1)]r_{21}=R_0f(E_2)[1-f(E_1)]
      • equilibrium일 때 r12=r21, f(E1)=f(E2)r_{12}=r_{21},\ f(E_1)=f(E_2)
    • 모든 E에 대해 EF1=EF2, T1=T2E_{F1}=E_{F2},\ T_1=T_2
    • 즉, EF=0\nabla E_F=0
  • Detailed Balance
    • equilibrium 상태에서 JN=JP=0, J=JN+JP=0J_N=J_P=0,\ J=J_N+J_P=0

  • Einsetin Relationship
  • diffusion current는 donor 농도가 높아지는 쪽으로 이동
  • drift current는 Energy Band level이 높아지는 쪽으로 이동
  • equilibrium 상태에서 JNdrift+JNdiff=qnμnE+qDNdndx=0J_{Ndrift}+J_{Ndiff}=qn\mu_nE+qD_N\frac{dn}{dx}=0
    • E=1qEi(x)E=\frac{1}{q}\nabla E_i(x) (electric field = intrinsic band level의 미분값)
    • n=niexp[(EFEi)/kT]n=n_iexp[(E_F-E_i)/kT]
    • dn/dx=nkT[dEFdxdEidx]dn/dx=-\frac{n}{kT}[\frac{dE_F}{dx}-\frac{dE_ i}{dx}]
    • dEF/dx=0dE_F/dx=0이므로 dn/dx=qkTnEdn/dx=-\frac{q}{kT}nE
    • JN=qnE(μnqDNkT)\therefore J_N=qnE(\mu_n-\frac{qD_N}{kT})
  • 전자의 einstein relationship : DNmun=kTq\frac{D_N}{mu_n}=\frac{kT}{q}
  • 정공의 einstein relationship : DPμp=kTq\frac{D_P}{\mu_p}=\frac{kT}{q}
  • einsteint relationship : 물질 간의 관계 - equilibrium 여부와는 무관
  • diffusion coefficient(by diffusion)와 mobility(by drift) 둘 다 scattering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례관계를 갖게 된다.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