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6. The Frequency Response Design Method

6. The Frequency Response Design Method

1. Frequency Response

  • 주파수 응답 : 선형시스템에 sinusoidal 입력이 들어갔을 때의 응답
    • 입력 u(t)=Asin(w0t)u(t)=Asin(w_0t)
    • 초기값 0일 때 출력 Y(s)=G(s)Aw0s2+w02Y(s)=G(s)\frac{Aw_0}{s^2+w_0^2}
    • G(s)가 n개의 pole을 갖는다고 할 때,
      Y(s)=α1sp1+α2sp2+...+αnspn+α0s+jw0+α0sjw0Y(s)=\frac{\alpha_1}{s-p_1}+\frac{\alpha_2}{s-p_2}+...+\frac{\alpha_n}{s-p_n}+\frac{\alpha_0}{s+jw_0}+\frac{\alpha_0^*}{s-jw_0}
    • α0=limsjw0G(s)Aw0s2+w02=A2jG(jw0)\alpha_0=\lim_{s\rarr -jw_0}G(s)\frac{Aw_0}{s^2+w_0^2}=-\frac{A}{2j}G(-jw_0)
    • α0=A2jG(jw0)\alpha_0^*=\frac{A}{2j}G(jw_0)
  • 주파수 응답 y(t)y(t)
    =α1ep1t+α2ep2t+...+αnepnt+A2j[G(jw)ejw0tG(jw)ejw0t]=\alpha_1e^{-p_1t}+\alpha_2e^{-p_2t}+...+\alpha_ne^{-p_nt}+\frac{A}{2j}[G(jw)e^{jw_0t}-G(-jw)e^{-jw_0t}]
    =α1ep1t+α2ep2t+...+αnepnt+G(jw0)Asin(w0t+ϕ)=\alpha_1e^{-p_1t}+\alpha_2e^{-p_2t}+...+\alpha_ne^{-p_nt}+|G(jw_0)|Asin(w_0t+\phi)
    • ϕ=tan1Im[G(jw0)]Re[G(jw0)]\phi=tan^{-1}\frac{Im[G(jw_0)]}{Re[G(jw_0)]}
    • 안정적인 시스템 응답이 steady state가 되는 경우, pole 항은 모두 소거 :
      y(t)=G(jw0)Asin(w0t+ϕ)=AMsin(w0t+ϕ)y(t)=|G(jw_0)|Asin(w_0t+\phi)=AMsin(w_0t+\phi)
    • 주파수 응답 특성(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 시스템의 sinusoidal 입력에 따른 고유한 Magnitude, Phase의 주파수 응답 특성

  • Bode Plot : 사인파 입력의 주파수가 변화함에 따라 응답의 Magnitude, Phase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

    • x축(주파수) : log scale
    • y축(Magnitude) : log scale
    • y축(phase) : linear scale
    • Compensator 설계에 활용 가능
    • 각 시스템의 bode plot은 더해질 수 있다.
    • log scale이므로 광범위한 응답특성 표현 가능
  • System G(jw)=s1s2s3s4s5G(jw)=\frac{\vec{s_1}\vec{s_2}}{\vec{s_3}\vec{s_4}\vec{s_5}}일 때

    • s=rejθ\vec{s}=re^{j\theta}
    • M=G(jw), ϕ=G(jw)M=|G(jw)|,\ \phi=\angle G(jw)
    • logM=logr,logG(jw)=j(ϕ)logelogM=log\sum r,log\angle G(jw)=j(\sum\phi)loge
    • Gdb=10logP2P1=20logV2V1|G|_{db}=10log\frac{P_2}{P_1}=20log\frac{V_2}{V_1}
  • Bode Form : 시스템 인수의 상수값이 1

    • KG(s)=K(sz1)(sz2)...(sp1)(sp2)..KG(s)=K\frac{(s-z_1)(s-z_2)...}{(s-p_1)(s-p_2)..}
      KG(jw)=Ko(jwτ1+1)(jwτ2)...(jwτa+1)(jwτb+1)...\rarr KG(jw)=K_o\frac{(jw\tau_1+1)(jw\tau-2)...}{(jw\tau_a+1)(jw\tau_b+1)...}

  • 전달함수 형태
    • K0(jw)nK_0(jw)^n
    • (jwτ+1)±1(jw\tau+1)^{\pm1}
    • [(jwwn)2+2ζ(jwwn)+1]±1[(\frac{jw}{w_n})^2+2\zeta(\frac{jw}{w_n})+1]^{\pm1}

  • ex. Class-1 : K0(jw)nK_0(jw)^n

    • (dB) M=20logK0(jw)n=20logK0+20nlogwM=20log|K_0(jw)^n|=20log|K_0|+20nlogw
    • (jw)n=n×90°\angle(jw)^n=n\times90\degree
    • Magnitude : K0=1, n=1K_0=1,\ n=1이라고 하면, 20dB/decade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 그래프 생성
    • Phase : n×90°n\times90\degree의 x축과 평행한 직선 그래프
  • ex. Class-2, 1st-order : jwτ+1jw\tau+1

    • Magnitude
      • wτ<<1logjwτ+10w\tau<<1\rarr log|jw\tau+1|\simeq0
      • wτ+1>>1logjwτ+1logτ+logjww\tau+1>>1\rarr log|jw\tau+1|\simeq log|\tau|+log|jw|
      • wτ=1w\tau=1 : Break Point
        • M=20logj+1=20log23dBM=20log|j+1|=20log\sqrt{2}\simeq3dB
      • ((w=1/τ),0dB)((w=1/\tau),0dB) 좌표를 기준으로 0dB/dec, 20dB/dec 기울기의 점근선 형성
      • (jwτ+1)1(jw\tau+1)^{-1} 의 경우 -3dB 점을 기준으로 -20dB/dec 기울기로 감소하는 그래프 형성
    • Phase
      • wτ<<10°w\tau<<1\rarr 0\degree
      • wτ+1>>190°w\tau+1>>1\rarr 90\degree
      • Break Point : wτ=145°w\tau=1\rarr 45\degree
      • 점근선의 기울기, 90°, 0°90\degree,\ 0\degree의 점근선을 기준으로 하는 곡선 그래프 형성
  • ex. Class-3, 2nd-order term : [(jwwn)2+2ζ(jwwn)+1]±1[(\frac{jw}{w_n})^2+2\zeta(\frac{jw}{w_n})+1]^{\pm1}

    • Magnitude
      • w<<wnlogG(jw)0w<<w_n\rarr log|G(jw)|\simeq0
      • w>>wnG(jw)(jw/wn)±2w>>w_n\rarr G(jw)\simeq(jw/w_n)^{\pm2}
        logG(jw)±2log1/wn±2logjwlog|G(jw)|\simeq\pm2log|1/w_n|\pm2log|jw|
      • w=wnlogG(jw)log((2ζ)±1)w=w_n\rarr log|G(jw)|\simeq log((2\zeta)^{\pm1})
      • breakpoint에서 20log(2ζ)±120log(2\zeta)^{\pm1} 지점을 통과
    • Phase
      • 차단주파수 전후로 0, 180도의 위상, breakpoint에서 G(jw)=j2ζ\angle G(jw)=-\angle j2\zeta
      • zetazeta가 1에 가까울 수록 완만하게, 0에 가까울수록 급격하게 그래프 변화

  • Bandwidth : Closed-Loop Transfer function
    • Amplitude가 1 > 0.707로 감소할 때의 주파수
    • 이 때 Magnitude는 약 -3dB
    • 전력이 50% 이하로 감소

  • Bode Plot 작성
    1. Magnitude : 전달함수를 Bode Form으로 조절 : KG(jw)=Ko(jwτ1+1)(jwτ2)...(jwτa+1)(jwτb+1)...KG(jw)=K_o\frac{(jw\tau_1+1)(jw\tau-2)...}{(jw\tau_a+1)(jw\tau_b+1)...}
    2. 주파수를 0으로 근사시켜 기울기 확인 후, 주파수 w=1일 때 점근선 작성
    3. 각 breakpoint에서의 점근선 작성 : 먼저 작성한 점근선 그래프에 breakpoint 주파수를 대입하여 그 지점을 지나는 점근선으로 작성
    4. 기울기가 감소, 혹은 증가할 때 Bode Plot 곡선은 교차점에서 ±3dB\pm3dB 차이나는 지점을 지나게 된다.
    5. Phase : 주파수를 0으로 근사시켜 출발점 위상 확인
    6. zero를 지나면 +90, pole을 지나면 -90도씩 변화하는 점근선 작성
    7. Phase Bode Plot 작성 : 곡선은 변화하는 점근선의 중간점을 지남

2. Neutral Stability

  • KG(s)KG(s)의 전달함수에서 얻은 Bode Plot으로 Closed-Loop system의 안정도 판별
    • Closed-Loop system의 root locus 작성시
      모든 점에서 1+KG(s)=0KG(s)=11+KG(s)=0\rarr |KG(s)|=1, G(s)=180°\angle G(s)=180\degree
    • 허수축 위를 지날 때 (neutral stability) : KG(jw)=1|KG(jw)|=1, G(jw)=180°\angle G(jw)=180\degree

  • G(s)=1s(s+1)2G(s)=\frac{1}{s(s+1)^2}에서 G(jw)=180°\angle G(jw)=-180\degree일 때,
    • K=2이면 KG(jw)=1|KG(jw)|=1
    • K<2이면 KG(jw)<1|KG(jw)|<1 : Stable
    • K>2이면 KG(jw)>1|KG(jw)|>1 : Unstable
    • G(jw)=180°\angle G(jw)=-180\degree일 때 KG(jw)<1|KG(jw)|<1 이면 Stable
  • 만약 G(s)=s(s+1)2G(s)=s(s+1)^2이면 G(jw)=180°\angle G(jw)=-180\degree일 때 KG(jw)>1|KG(jw)|>1 이면 Stable

  • Bode Plot의 경우 Gain이 1 (위상이 180도)인 지점을 여러번 지날 수 있어 안정도 판별에 어려움 존재
  • Nyquist 안정도 판별법을 대신 사용

3. Nyquist Stability

  • 편각의 원리
    • 전달함수 H(s)에서 s가 임의의 궤적 C1을 따를 때,
    • H(s)의 궤적은 s의 궤적 C1 안에 속하는 Zero - Pole 개수 차이만큼 원점을 포함하여 회전하는 궤적이 된다.
    • zero가 더 많으면 시계방향, pole이 더 많으면 반시계방향
  • C1C_1궤적을 RHP 모두를 포함하는 궤적으로 가정
    • RHP에 zero 존재 : 시계방향 궤적
    • RHP에 pole 존재 : 반시계방향 궤적
  • 전달함수 T(s)=1+KG(s)=1+Kb(s)a(s)=a(s)+Kb(s)a(s)T(s)=1+KG(s)=1+K\frac{b(s)}{a(s)}=\frac{a(s)+Kb(s)}{a(s)}일 때
    • G(s)의 RHP Pole = 1+KG(s)의 RHP pole
    • closed-loop의 RHP Pole = 1+KG(s)의 RHP zero
    • N = Z-P
      • N : 원점을 포함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궤적 수
      • Z, P : T(s)의 RHP zero, pole 개수
      • Z = N+P이므로, T(s)의 RHP zero가 없다면 G(s)의 RHP pole이 없으므로 안정된 시스템이다.

  • Nyquist Plot의 작성법
    1. RHP 궤적 C1C_1을 3개 영역에 나누어 KG(s)분석
      • 0j0\rarr j\infty
      • j0-j\infty\rarr0
      • RHP를 따라 이동하는 Big Arc
        • 무한의 반지름을 따라 이동하므로 KG(j)KG(j\infty)계산
        • KG(j)KG(j\infty) 는 pole 차수가 더 클때 0, pole, zero 차수가 동일하면 상수
    2. KG(s)의 Bode Plot 작성
      • breakout point의 좌표 확인
    3. Bode Plot을 기반으로 Nyquist Plot 작성
      • Bode Plot에서 위상 0도일 때의 Gain = + 방향 X축에서의 시작 좌표
      • 위상 변화에 따라 Gain 크기가 궤적의 반지름
    4. 궤적의 Loop 내에 포함되는 원점의 개수 확인

  • ex. G(s)=1s(s+1)2G(s)=\frac{1}{s(s+1)^2}
  • s가 매우 작은 값이 될 때, G(s)1sG(s)\simeq \frac{1}{s}로 근사
    • r이 0으로 근사 시 매우 큰 값이 된다
    • r이 무한으로 증가하면 궤적은 원점 근처를 지난다
    • 위상 ϕ\phi는 -90~ 90도로 이동하는 궤적이므로 G는 반시계방향 (90 ~ -90도)으로 이동하는 궤적이 된다.
    • Bode plot 작성 시 w값이 -90에 가까울 수록 Gain이 커지고, -180도에서 0, 이후로 급격히 작아지므로 3사분면에서 시작하여 w=1 지점을 끼고 원점으로 수렴하는 궤적이 나타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