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현대 인터넷 비즈니스

  • OSI 1(물리), 2(데이터링크) 계층의 연결 구분
    • 유선 네트워크 : 모든 장치가 물리적 회선으로 연결
    • 무선 네트워크 : 일부 장치가 무선으로 연결
  • 네트워크의 종류
    • BAN(Body Area Network) : 몸에 부착된 기기가 스마트폰과 연결
    • PAN(Personal Area Network) :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이용한 기기 연결(BAN과 구분 모호)
    • LAN(Local Area Network) : 집, 회사 등 한 영역에 한정된 네트워크, 라우터 단위 연결
    • WAN(Wide Area Network) : ISP-ISP 간 연결, LAN-LAN 간 연결
      • 클라우드 : 온라인 상에 자료를 공유, 동기화하여 최신 상태로 유지
      • 웹하드의 경우 단순한 자료 업/다운로드이므로 클라우드와는 차이가 존재
      • Fog Computing(=Edge Computing) : 데이터 발생 지점에서 데이터를 처리, 클라우드 컴퓨팅의 처리 부담을 경감

Packet Tracer 실습

  • PC, 서버, 스위치, 라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 PC는 스위치에 연결
  • 라우터는 서버와 스위치에 연결
  • PC 설정
    • 더블 클릭 후 Desktop-Ip configuration
    • IP address에 설정할 PC IP 입력(subnet mask는 자동 설정)
    • Default Gateway에 가장 가까운 라우터 IP 입력
    • 서버는 라우터에 직접 연결, 그 외에는 PC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
  • 라우터 설정
    • Config-Interface-Ethernet
    • Port status의 on 체크, Ip address에 설정할 IP 입력
  • 연결 확인
    • PC에서 dektop-command prompt로 이동하여 server, router 등의 ip로 ping xxx.xxx.xxx.xxx 명령어로 연결 확인
    • 우하단 패킷 트레이서 시뮬레이션 설정을 realtime에서 simulation으로 바꾸면 패킷의 이동을 확인 가능
    • 좌상단 메뉴의 add simple PUU를 통해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싶은 기기를 각각 클릭하여 통신 상태 확인 가능

 

      • config-wireless로 게이트웨이, 장치의 SSID 확인 후 일치하도록 설정
    • 무선 연결을 위해 IOT기기는 config-settings에서 IOT server에서 remote server로 설정, 서버 주소는 gateway로 설정, ID/PW는 기본값 admin/admin
  • DHCP 서버를 이용한 유선 연결
    • 스위치를 중심으로 한 star topology
    • 서버 IP는 static으로 수동 설정
    • DHCP로 자동 설정 (서버 이용)
      • 서버 IP configuration에 static IP 설정
      • 서버 services - DHCP on, DNS값에 서버 IP 입력 후 add
      • 서버 services - DNS on, name에 서버 도메인, address에 서버 IP 입력 후 add
      • end device의 ip configuration에 DHCP 설정시 IP는 자동으로 연결됨
      • IOT 기기는 무선 연결과 동일하게 remote 서버 설정
  • 연결 후 PC-desktop-browser에서 도메인/ip로 이동하면 연결된 IOT 기기 확인 가능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