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 Dynamic Response

3. Dynamic Response

1. Laplace transform

  • 미분 방정식의 풀이를 위해 사용
  • L{f(t)}=0f(t)estdt=F(s)\mathcal{L}\{{f(t)}\}=\int_0^\infty f(t)e^{-st}dt=F(s)
    • 시간 영역의 함수 f(t)를 주파수 영역의 함수 F(s)로 변환
    • s=σ±jws=-\sigma\pm jw
    • jwjw : f(t)의 주파수
    • σ\sigma : 진폭의 감쇄
    • Fourier Transform : s=±jws=\pm jw에 대한 Laplace Transform
  • Laplace Transform Property
    • L{f(t)}=F(s)\mathcal{L}\{f(t)\}=F(s)
    • L1{F(s)}=f(t)\mathcal{L}^{-1}\{F(s)\}=f(t) (inverse L.T.)
    • L{kf(t)}=kF(s)\mathcal{L}\{kf(t)\}=kF(s)
    • L{f1(t)+f2(t)}=F1(s)+F2(s)\mathcal{L}\{f_1(t)+f_2(t)\}=F_1(s)+F_2(s)
    • L[df(t)dt]=sF(s)+f(0)\mathcal{L}[\frac{df(t)}{dt}]=sF(s)+f(0)
    • L[dnf(t)dtn]=snF(s)sn1f(0)sn2f(0)...fn1(0)\mathcal{L}[\frac{d^nf(t)}{dt^n}]=s^nF(s)-s^{n-1}f(0)-s^{n-2}f'(0)-...-f^{n-1}(0)
    • L[0tf(τ)dτ]=1sF(s)\mathcal{L}[\int^t_0f(\tau)d\tau]=\frac{1}{s}F(s)


2. Inverse Laplace Transform

  • F(s)=b1sm+b2sm1+...+bm+1sn+a1sn1+...+an=KΠi=1m(szi)Πi=1n(spi)F(s)=\frac{b_1s^m+b_2s^{m-1}+...+b_{m+1}}{s^n+a_1s^{n-1}+...+a_n}=K\frac{\Pi_{i=1}^m(s-z_i)}{\Pi_{i=1}^n(s-p_i)}
    • 실제 존재할 수 있는 Transfer function에 대해 nmn\geq m
    • ziz_i : 함수의 영점(zero)
    • pip_i : 함수의 극점(pole)
    • Partial Fraction : F(s)=C1sp1+C2sp2+...+CmspnF(s)=\frac{C_1}{s-p_1}+\frac{C_2}{s-p_2}+...+\frac{C_m}{s-p_n}
      • C1=(sp1)F(s)s=p1C_1=(s-p_1)F(s)|_{s=p_1}

3. Final-value Theorem

  • Laplace Transform을 이용, 시간이 무한히 흘렀을 때의 시스템의 최종값 계산
  • sY(s)의 모든 극값이 좌반면 (s < 0)에 존재하는 경우
    • limty(t)=lims0sY(s)\lim_{t\rarr\infty}y(t)=lim_{s\rarr0}sY(s)
  • sY(s)의 모든 극값이 좌반면에 존재한다
    • = 분모의 식이 (s+a)(s+b)(s+c)...꼴로 표현
    • 이는 y(t)=A0+A1eat+A2ebt...y(t)=A_0+A_1e^{-at}+A_2e^{-bt}..., 즉 0으로 수렴하는 식으로 표현
    • 만약 우반면에 존재하는 극값이 존재할 경우 y(t)는 무한으로 발산
  • DC Gain
    • 임의 시스템의 Transfer Function G(s)와, 입력U(s), 출력Y(s) 가정
    • G(S)=Y(s)U(s)G(S)=\frac{Y(s)}{U(s)}
    • DC gain = limty(t)u(t)=lims0G(s)lim_{t\rarr\infty}\frac{y(t)}{u(t)}=lim_{s\rarr0}G(s) : 입력과 무관한 시스템 고유의 특성

4. System Modeling

  •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표시
  1. 직렬 결합
    • G1, G2의 두 시스템이 같은 선에 위치할 경우
    • 시스템은 G1, G2의 곱으로 표시
  2. 병렬 결합
    • 분기점을 기준으로 G1, G2가 나눠진 후 다시 결합
    • 시스템은 G1, G2의 합으로 표시
  3. 피드백
    • 진행 방향1feedback loop\frac{진행\ 방향}{1\mp feedback\ loop}
    • Unit negative feedback : feedback block이 1인 Block diagram
      • 출력 신호가 온전히 input으로 들어오는, 이상적인 feedback

  • 분기점(pickoff point) 이전의 분기신호를 분기점 이후로 옮기면, 중간에 있는 block의 역수인 block을 곱하여 배치한다.
  • 신호가 합쳐진 뒤 있는 block은 합쳐지기 전 각각 신호에 block이 있는 회로와 동일
  • feedback을 전향경로와 동일한 선에 배치할 때, feedback point 이전에 피드백 block의 역수인 block을 배치한다.

5. Effect of Pole Location

  • 시스템의 전달함수가 H(s)H(s)일 때
    • H(s)=b(s)a(s)=b1sm+b2sm1...+bms+bm+1a1sn+a2sn1...+ans+an+1=KΠi=1m(szi)Πi=1n(spi)H(s)=\frac{b(s)}{a(s)}=\frac{b_1s^m+b_2s^{m-1}...+b_ms+b_{m+1}}{a_1s^n+a_2s^{n-1}...+a_ns+a_{n+1}}=K\frac{\Pi_{i=1}^m(s-z_i)}{\Pi_{i=1}^n(s-p_i)}
    • pole : H(s)H(s)\infty가 되는 값들 (a(s)=0a(s)=0)
    • zero : H(s)H(s)가 0이 되는 값들 (b(s)=0b(s)=0)
  • Impulse response
    • impulse function : let u(t)=δ(t)u(t)=\delta(t), U(s)=1U(s)=1
    • 시스템 H(s)H(s)의 impulse 입력에 대한 출력
    • Y(s)=H(s)U(s)=H(s)1=H(s)Y(s)=H(s)U(s)=H(s)\cdot1=H(s)
      출력 y(t)=L1{H(s)}=h(t)y(t)=\mathcal{L}^-1\{H(s)\}=h(t)
      • 크기가 1인 순간 출력에 대한 응답이므로, 시스템 자체의 고유한 response이기 때문에 impulse response를 natural response라고도 함.

  • ex. 1st order pole
    • H(s)=1s+σH(s)=\frac{1}{s+\sigma}
    • impulse response h(t)=exp[σt]h(t)=exp[-\sigma t]
    • σ\sigma가 양수일 때 시간에 따라 response가 0으로 수렴하며, 이를 stable하다고 표현
      • H(s)H(s)의 pole이 음수(s-plane의 좌반면)일 때 시스템은 stable한 상태가 됨
    • 1차 시스템의 time constant
      • 시스템 response가 1e\frac{1}{e}가 되는 시간 τ\tau
      • time constant가 클 수록 응답의 속도가 빠름

  • ex. 2개의 complex pole을 갖는 시스템

    • pole s=σ±jwds=-\sigma\pm jw_d
    • H(s)=wn2(s+σ)2+wd2=wn2s2+2ζwns+wn2H(s)=\frac{w_n^2}{(s+\sigma)^2+w_d^2}=\frac{w_n^2}{s^2+2\zeta w_ns+w_n^2}
    • ζ\zeta : damping ratio (속도에 의한 감쇠)
    • wnw_n : damping이 없을 때 진동 주파수
    • wdw_d : damping이 있을 때 진동 주파수 (wd=wn1ζ2w_d=w_n\sqrt{1-\zeta^2})
    • impulse response h(t)h(t)는 지수함수와 삼각함수의 곱으로 표현됨
  • s-plane expression

    • pole s=σ±jwds=-\sigma\pm jw_d
    • wn2=wd2+σ2w_n^2=w_d^2+\sigma^2
    • σ=ζwn\sigma=\zeta w_n에서 ζ=σwn=sinθ\zeta=\frac{\sigma}{w_n}=sin\theta
      θ=sin1ζ\theta=sin^{-1}\zeta
  • 2차 시스템의 impulse response

    • H(s)=wn2(s+σ)2+wd2H(s)=\frac{w_n^2}{(s+\sigma)^2+w_d^2}
      ( σ=ζwn\sigma=\zeta w_n, wd=wn1ζ2w_d=w_n\sqrt{1-\zeta^2})
      =wn2(s+ζwn)2+wn2(1ζ2)=\frac{w_n^2}{(s+\zeta w_n)^2+w_n^2(1-\zeta^2)}

    • (L.T.)eatsin(bt)=b(s+a)2+b2(L.T.)e^{-at}sin(bt)=\frac{b}{(s+a)^2+b^2}
      wn1ζ2wn1ζ2(s+(ζwn)2+wn2(1ζ2)\frac{w_n}{\sqrt{1-\zeta^2}}\frac{w_n\sqrt{1-\zeta^2}}{(s+(\zeta w_n)^2+w_n^2(1-\zeta^2)}
      a=ζwna=\zeta w_n, b=wn1ζ2b=w_n\sqrt{1-\zeta^2}

    • h(t)=wn1ζ2eζwntsin[(wn1ζ2)t]\therefore h(t)=\frac{w_n}{\sqrt{1-\zeta^2}}e^{-\zeta w_nt}sin[(w_n\sqrt{1-\zeta^2})t]

    • 2차 시스템의 impulse response는 undamped natural frequency wnw_n과 damping ratio ζ\zeta에 의해 결정

      • ζ=0\zeta=0 : 감쇄 없이 진동
      • ζ<1\zeta<1 : 감쇄하면서 진동 (underdamped)
      • ζ=1\zeta=1 : 진동 없는 감쇄 (Critical damped)
      • ζ>1\zeta>1 : 목표값보다 과하게 감쇄되어 벗어남 (overdamped)
    • damping ratio 0ζ10\leq\zeta\leq1 가 증가 > 실제 주파수 감소

    • damping ratio가 증가 > 허수축에서 pole이 멀어짐 > θ\theta 증가


6. Step Response

  • 임의 시스템 H(s)H(s)의 unit step u(t)u(t)에 대한 응답
  • unit step의 laplace transform U(S)=1sU(S)=\frac{1}{s}
  • step response는 0에서 시작해서크기 1을 향해 진동하면서 수렴
  • rising time (trt_r) : 목표값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 시간
  • peak time (tpt_p) : 시작점에서 peak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 step response : Y(s)=wn2(s+σ)2+wd21sY(s)=\frac{w_n^2}{(s+\sigma)^2+w_d^2}\frac{1}{s}
    • y(t)=1eσt[coswdt+σwdsinwdt]y(t)=1-e^{-\sigma t}[cosw_dt+\frac{\sigma}{w_d}sinw_dt]
    • peak time에서 응답곡선 기울기 = 0
    • y˙(t)=eσt[σ2wdsinwdt+wdsinwdt]=0\dot{y}(t)=e^{-\sigma t}[\frac{\sigma^2}{w_d}sinw_dt+w_dsinw_dt]=0
    • wdt=πw_dt=\pi인 시간이 peak time : tp=πwdt_p=\frac{\pi}{w_d}
    • peak time은 damped natural frequency의 함수
  • Overshoot (MpM_p) : peak값과 목표값의 차이
    • Mp=1y(tp)=1(1+eσπ/wd)=exp[σπ/wd]M_p=1-y(t_p)=1-(1+e^{-\sigma\pi/w_d})=exp[-\sigma\pi/w_d]
    • σ=ζwn\sigma=\zeta w_n, wd=wn1ζ2w_d=w_n\sqrt{1-\zeta^2}이므로
      Mp=exp[πζ/1ζ2]M_p=exp[-\pi\zeta/\sqrt{1-\zeta^2}]
    • overshoot는 damping ratio의 함수
  • settling time : 응답곡선이 목표값의 ±1%\pm1\%내에 도달하는 시간

  • Controller Design
    • 2차 step response Y(s)=wn2(s+σ)2+wd21sY(s)=\frac{w_n^2}{(s+\sigma)^2+w_d^2}\frac{1}{s} 의 주요 parameter :
      rising time, peak time, overshoot, settling time
    • settling time
      • 응답 y(t)=0.01이 되는 시간
      • σ4.6ts\sigma\geq\frac{4.6}{t_s}
    • rising time
      • 목표값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 시간
      • wn1.8trw_n\geq\frac{1.8}{t_r}

7. Stability

  • Routh's Stability Criterion
    • 임의 시스템의 pole이 모두 s-plane 좌반면에 존재하면 시스템은 stable

    • n차 시스템 a(s)=sn+a1sn1+a2sn2+...+ana(s)=s^n+a_1s^{n-1}+a_2s^{n-2}+...+a_n의 안정도 판단

    • 안정 시스템의 필요조건 : 모든 계수 a1a_1~ana_n이 양수

    • 안정 시스템의 필요충분조건 : routh array의 1번 열이 모두 양수

    • special case

      • 계수의 행이 최소공배수를 갖는 경우 최소공배수로 나누어 표현 가능 (부호는 변경할 수 없음)
        • ex. 행 계수가 3, 24, 96, 192인 경우 3으로 나누어 1, 8, 32, 64로 표현 가능
      • 계산한 계수 값이 0인 경우 : ϵ(=0+)\epsilon(=0^+)로 대체하여 array 완성 후 부호 비교
      • array 중 a번째 행이 모두 0이 된 경우
        • a+1행 계수로 보조방정식 구성
        • 이 식을 미분한 계수로 0이 된 행 대체
        • ex. s1s^1행이 0, s2s^2행이 3, 12인 경우
          • a1(s)=3s2+12s0a_1(s)=3s^2+12s^0
          • da1(s)ds=6s\frac{da_1(s)}{ds}=6s
          • 즉 0이 된 s1s^1행의 1열 계수는 6
        • a+1행부터 시작하는 보조 routh-array 추출
          • 보조 routh-array에서의 RHP = LHP, 남는 근은 허수축 위에 존재
        • routh-array에서 a+1행 위의 계수로 보조방정식 외 나머지 pole 위치 판단
728x90

+ Recent posts